[블록미디어] 블록미디어 정윤재
전력, 통신, 수도, 교통 등 물리 인프라 네트워크는 전통적으로 자연독점 형태로 운영돼 왔다. 이들 인프라는 효율을 위해 한 기업이 독점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선진국에서는 △혁신 부재 △고객 불만족 △느린 대응 △열악한 유지관리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신흥국에서는 인프라 자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공급이 불안정한 상황이다.
안드레센 호로위츠 크립토(a16z crypto) 파트너인 가이 월렛(Guy Wuollet)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 DePIN(탈중앙화 물리 인프라 네트워크)을 제시했다. 월렛은 “DePIN은 더 많은 사람의 참여와 소유가 가능한 물리 인프라 생태계를 만들며, 기존의 독점 구조를 대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DePIN은 분산형 프로토콜과 암호화 기술을 활용해 물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다. 기존처럼 특정 기업이 전체 인프라를 통제하지 않고 △소규모 사업자 △개인 사용자 △지역 커뮤니티 등이 네트워크의 소유자이자 운영자로 기능한다. 한 예로 미국의 많은 가정과 사업체는 태양광과 배터리를 통해 자체 전력을 생산하고 있으며, ‘데이라이트(Daylight)’는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DePIN 프로토콜의 한 사례로 볼 수 있다.
DePIN이 성공하기 위해 월렛은 세 가지 요소를 강조했다. 첫째, 탈중앙화의 필요성이다. DePIN은 대규모 초기 자본 없이 사용자 참여로 인프라를 확장할 수 있다. 둘째, 시장 진입 전략이다. 기존 사업자와 충돌을 피하기 위해 좁은 틈새 시장을 공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검증 문제다. 랜덤 샘플링, 신뢰 하드웨어, 허가된 장비 등록 및 감사를 통해 검증할 수 있다.
월렛은 “DePIN은 단지 기술적 혁신에 그치지 않고 누구나 사회 필수 인프라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제시한다”고 말하며, “지금의 필수 네트워크들이 더 많은 이들에게 열릴 수 있도록 고민할 때”라고 강조했다. DePIN이 기존 물리 인프라를 대체해 탈중앙화된 미래를 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 이 기사는 2025년 03월 29일, 14:0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