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는 Botanix Labs의 최고운영책임자(COO) 알리시아 페인터의 기고문을 통해 “금융의 미래는 비트코인 위에 세워질 것, 이더리움은 테스트”라는 주장을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탈중앙금융(DeFi)이 제도권 금융으로 진입하려는 시점에서 비트코인이 새로운 기반으로 주목받고 있다. 보안성과 신뢰성을 강조하며, 실험적인 이더리움과는 다른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을 도입하며 DeFi를 현실화한 플랫폼으로 다양한 금융 시스템을 가능하게 했다. 그러나 과도한 유연성은 시스템의 복잡성과 보안 취약성을 가져왔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6년 DAO 해킹 사건이다. 약 5000만 달러가 탈취되며 이더리움은 분리되기도 했다. 이후에도 웜홀 해킹, 로닌 브릿지 사건 등 피해가 반복돼 이더리움 기반 DeFi의 구조적 위험이 드러났다.
확장성 문제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혼잡은 트랜잭션 수수료를 수백 달러까지 끌어올렸다. 레이어2 솔루션이 등장했지만, 신뢰 구조와 유동성 단절이라는 문제를 동반했다.
반면 비트코인은 구조적으로 보수적이다. 안정성을 중시하며, 오랜 시간 동안 검증된 작업증명(PoW) 방식을 채택해 블록체인을 운영한다. 이는 신뢰를 쌓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된다.
비트코인은 또한 유동성 측면에서도 경쟁력이 있다. 더 큰 시가총액을 바탕으로 깊은 유동성을 제공하며, 실물 금융 상품과 연결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최근에는 비트코인 기반 확장 기술인 라이트닝 네트워크, 스파이더체인(Spiderchain) 등이 등장해 스마트 계약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비트코인 레이어2 기술이 동일한 것은 아니다. 일부는 멀티시그나 브릿지 방식을 사용해 비트코인을 타 체인에서 활용하지만, 이는 비트코인의 원래 보안성을 온전히 이어받지 못한다.
결론적으로, 금융의 미래가 실험보다 신뢰에 기반해야 하며 그 신뢰의 기반은 비트코인이라는 주장이다. 이더리움이 가능성을 증명했다면, 비트코인은 그 가능성을 실현할 기반이 될 수 있다. DeFi가 대중화되기 위해서는 보안과 유동성, 제도권 신뢰를 모두 갖춘 플랫폼이 필요하다.
☀︎
* 이 기사는 2025년 03월 30일, 06:42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