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코인뷰로의 창립자 닉 퍼크린은 2025년까지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지만, 미국의 경기침체와 관세 정책이 디지털자산 시장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퍼크린에 따르면, 올해 미 연준은 두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각각 0.25%씩 인하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양적완화는 시행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미국은 2025년까지 40% 확률로 경제 침체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장기화된 무역 전쟁과 거시경제적 불확실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경제적 불확실성은 미국 달러 인덱스(DXY)의 하락 원인으로 지목됐다. 투자자들은 유럽 자본시장 등으로 자금을 이동시키며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을 피하려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 부과는 디지털자산 시장에도 충격을 주었다. 비트코인 가격은 24% 하락하며 1월 20일 최고점인 약 10만9000달러에서 8만2258달러까지 하락했다.
낸센의 리서치 애널리스트 니콜라이 손더고르는 “관세로 인한 압력은 최소 2025년 4월까지 디지털자산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국가 간 협상을 통해 관세가 철회되거나 트럼프 행정부의 태도가 완화될 경우 시장은 회복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10x 리서치의 창립자 마르쿠스 티엘렌은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관세 관련 강경 발언을 완화한 뒤인 2025년 3월, 비트코인 가격은 바닥을 형성했다”고 지적하며, 이는 가격 반등의 신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 이 기사는 2025년 03월 30일, 09:04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