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최창환 기자]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025년 관세 정책 재개가 글로벌 무역 갈등을 심화시키면서, 기관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이 아닌 금(Gold)을 선택하고 있다고 비인크립토가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디지털 금’으로 불리는 비트코인의 안전자산 지위가 재검토되는 분위기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펀드매니저 58%는 무역 전쟁 상황에서 가장 높은 성과를 낼 자산으로 금을 꼽았다. 반면 비트코인은 단 3%에 그쳤다. 전통적 안전자산인 30년 만기 미 국채 역시 9%에 그쳐, 금의 우위가 두드러졌다.
이는 △지정학적 불확실성 확대 △미국 재정적자 급증 △시장 신뢰도 약화 등의 복합적 요인에서 비롯됐다. 미국의 재정적자는 올해 1조8000억 달러를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준비통화인 달러의 위상이 흔들리자, 투자자들은 보다 정치적 중립성을 가진 자산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비트코인은 공급량이 제한돼 있고, 중앙 통제에서 벗어난 자산이라는 점에서 인플레이션과 통화 정책의 대안으로 주목받아 왔다. 그러나 기관투자자들은 단기 가격 변동성과 시장의 성숙도 부족을 여전히 우려하고 있다.
비트코인 ETF 상장은 관심을 끌었지만, 실질 수요보다는 차익거래(arbitrage) 목적의 수요가 컸다는 분석도 나온다. 분석가 카일 샤세(Kyle Chassé)는 “ETF 수요는 실제 존재했지만, 생각만큼 크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트레이더 빌리 AU는 “금은 이제 단순히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이 아니라, △지정학 리스크 △탈세계화 △재정 불안 △무역 무기화 등 모든 리스크에 대한 해지 자산으로 평가받는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기존의 자산배분 전략을 재작성하고 있으며, 금은 유일하게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자산이라는 점에서 각광받고 있다. 반면 비트코인은 장기적인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아직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