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박현재] 탈중앙화 금융(DeFi) 프로젝트들이 타이코(Taiko, $TAIKO) 생태계에서의 전략과 향후 로드맵을 공유했다. 지난 26일 진행된 X스페이스 AMA에서는 △디메터디파(DemetherDeFi) △이즈미 파이낸스(Izumi Finance) △타코타코(TAKOTAKO)의 핵심 개발자들이 직접 참여해 자사 제품의 차별성과 협력 모델, 미래 계획 등을 밝혔다.
디메터의 리드 컨트리뷰터 카르틱은 “자사는 자본 유입을 통한 생태계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DMETH, DMSOL 등 리퀴드 리스테이킹 토큰을 통해 타이코에 안정적인 TVL(총 예치 가치, Total Value Locked)을 형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디메터는 ‘그레인(Grain)’이라는 리워드 토큰을 도입해 사용자 충성도와 활동 기여도에 따라 보상을 제공한다.
이즈미 파이낸스는 집중 유동성 AMM ‘이산화 유동성(Discretized Liquidity)’ 모델을 기반으로, 슬리피지를 최소화한 효율적 거래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주안 코어 컨트리뷰터는 “세 가지 유동성 제공 모드를 통해 사용자의 전략을 돕는다”며 “타이코의 LST, LRT 자산과 결합하면 자본 효율성이 더욱 향상된다”고 강조했다.
타코타코는 타이코에서 에이브 형태의 대출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으며, ‘전략 볼트(Strategy Vault)’ 도입을 통해 복잡한 디파이 전략을 자동화할 계획이다. 공동창업자 스펙트린은 “초보 사용자도 클릭 몇 번으로 루프 전략을 실행하고 포지션을 조절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준비 중”이라며 “이러한 기능은 타이코 고유 자산을 활용해 더욱 차별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 디파이 간 협업 확대…생태계 결속 강화
세 프로젝트는 그레인 프로그램 등 공동 인센티브 캠페인에도 적극 협력 중이다. 디메터의 카르틱은 “사용자들이 디메터 토큰을 브릿지하거나 타코타코에서 대출·차입을 하거나, 이즈미에서 유동성을 제공하면 그레인을 통해 보상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프로젝트들은 향후에도 각기 다른 강점을 기반으로 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디메터는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출시를 예고했으며, 타코타코는 새로운 LRT 자산 상장을 통해 위험 분산형 대출 시장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즈미는 페이파이(PayFi) 영역과 현실 세계 자산 연동 모델을 통해 디파이 채택을 확산하겠다는 방침이다.
마지막 발언에서 세 프로젝트는 한목소리로 “디파이는 시장 순환에 상관없이 가장 유의미한 블록체인 활용 사례”라며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금융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꾸준히 제품을 개발하고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