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이더리움의 유동성과 솔라나의 고속 병렬 처리 구조를 결합한 레이어2 플랫폼 ‘이클립스(Eclipse)’가 지난해 11월 메인넷 출시 이후 빠르게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클립스는 △거래량 △유동성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급성장 중이다. ‘이더리움 위의 솔라나’, ‘블록체인 하이퍼루프’로 평가받고 있다.
이클립스의 창업진 이력 또한 주목할 만하다. 최고경영자(CEO) 비제이 체티는 유니스왑과 디와이디엑스 출신으로, 블랙록과 리플에서도 경력을 쌓았다. 최고기술책임자(CTO) 벤 립쉬츠는 브레이브 브라우저 수석 과학자, zkSync 연구 부사장,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 연구원 출신이다. 이클립스는 지난 A 라운드에서 5천만 달러를 확보해 총 10억 달러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클립스의 마스코트 ‘터보 더 카우(Turbo the Cow)’는 단순한 캐릭터가 아니다. 이는 이클립스의 ‘비피 시퀀서(beefy sequencer)’를 형상화하여 플랫폼의 정체성과 기술력을 상징한다. 이클립스는 메인넷 출시 후 △930 ETH의 수수료 창출 △46만7000명 이상의 디스코드 가입자 △100만개 이상의 지갑 △170억건 이상의 거래 기록을 세웠다. 일일 평균 거래 처리량은 2억5천만 건이며 탈중앙화 거래소(DEX)의 누적 거래량은 9억1천100만 달러다.
이클립스가 주목받는 이유는 GSVM(Giga Scale Virtual Machine) 때문이다. 솔라나의 병렬 런타임을 기반으로 하드웨어 가속, 핫스팟 트래픽 격리, 오프체인 계산 최적화를 더해 속도와 처리 효율을 높였다. 이는 이더리움 위에 건설된 하이퍼루프급 고속도로와 같다.
이클립스는 디파이(DeFi)와 게임파이(GameFi) 생태계 확장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NFT 부문에서는 OG 제네시스 NFT ‘애프터 스쿨 클럽(After School Club)’을 발행했으며, GameFi 분야에서는 ‘센드 아케이드(Send Arcade)’, ‘터보탭(Turbo Tap)’, ‘헤지혹(Hedgehog)’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DeFi 영역에서는 △대출 프로토콜 ‘아스트롤(Astrol)’ △DEX ‘인버리언트(Invariant)’ △DEX ‘움브라(Umbra)’가 주요 프로젝트다.
이클립스는 Layer 2 시장에서 OP Stack, zkStack, Arbitrum Orbit 등과 경쟁하며 그 차별화된 기술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업계는 곧 다가올 TGE(토큰 생성 이벤트)와 함께 이클립스가 L2 시장에서 진정한 ‘이더리움 위의 솔라나’로 자리 잡을지 기대하고 있다.
* 이 기사는 2025년 03월 31일, 15:48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