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국내 디지털자산 거래소들이 법인 고객 유치 경쟁에 본격 돌입했다. 법인 계좌 개설이 단계적으로 허용되면서 업비트, 빗썸, 코빗 등 주요 거래소들은 은행과 협력해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 지원 체계를 강화하며 시장 선점을 노리고 있다.
업비트는 케이뱅크와 협력해 법인 계좌 가입 문의 창구를 운영하고 있으며, 빗썸은 KB국민은행과 제휴해 법인 전담 조직을 신설했다. 코빗 역시 신한은행과 협력해 법인 대상 지원 체계를 정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거래소를 통해 법인이 디지털자산을 직접 매입하고 운용하는 구조가 열리면서, 디지털자산이 단순 투자 수단을 넘어 기업의 전략적 자산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커졌다.
디지털자산 업계 관계자는 “기업 고객들이 디지털자산을 실질적인 서비스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관심을 보인다”며 “이는 비즈니스 구조가 디지털자산 중심으로 재편될 수 있다는 신호”라고 말했다. 그러나 제도적 제약도 여전히 존재한다. 디지털자산은 투자자산으로 분류돼 법정화폐로 간주되지 않아서 지급결제 수단으로 활용하는 데는 한계가 따르며, 가상자산사업자(VASP) 라이선스 취득에는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그럼에도 법인 고객 확대 과정에서 거래소의 역할 변화는 불가피하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앞으로는 법인 고객이 거래소를 통해 커스터디, OTC, 리스크 관리, 시스템 연동 등 다양한 B2B 서비스를 요구하게 되면서, 거래소의 역할도 단순한 거래 플랫폼을 넘어 디지털자산 기반의 기업형 인프라 제공자로 확장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거래소는 법인 계정 관리, 외부 연동 API, 커스터디 연계, 대규모 OTC 창구 등 다양한 B2B 인프라 기능을 요구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윤성 타이거리서치 연구원은 “리테일과 달리 법인은 대규모 자본을 바탕으로 보다 정교한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며 “이들을 위한 자산관리, 리서치, OTC 등 특화 기능이 거래소 서비스의 표준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 이 기사는 2025년 03월 31일, 17:5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