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오수환 기자] 미국이 주요 교역국에 상호 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비트코인(BTC) 가격은 박스권 흐름을 보이며 방향성을 잃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긴축 기조와 정책 불확실성이 지속될 경우, 연말까지 비트코인이 5만달러대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일 오전 8시42분 기준 국내 디지털자산(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0.16%(21만2000원) 하락한 1억2289만원에 거래됐다. 같은 시각 글로벌 최대 거래소 바이낸스에서 비트코인(BTC)은0.39% 상승한 8만2348달러를 기록했다.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24시간 동안 비트코인 청산 규모는 약 7141만달러(약 1052억원)였으며, 이 중 숏(매도) 포지션이 63%를 차지했다. 전체 디지털자산 시장의 청산 규모는 2억5326만달러(약 3733억원)에 달했다.
이날 비트코인 가격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전형적인 횡보세를 나타냈다. 이는 3일부터 시행되는 미국의 자동차 수입 관세와 동맹국 대상 보복 관세 발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QCP 캐피털은 “이번 조치는 미국 최대 교역국을 겨냥한 보복성 관세로, 무역 갈등이 다시 격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에 따라 자동차 관련 주식이 큰 폭의 약세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퀸 톰슨(Quinn Thompson) 렉커캐피털 대표는 이번 조정장이 아직 시작에 불과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시장 전반이 급락보다는 서서히 유동성과 투자 심리가 고갈되는 ‘느린 고통’의 구간에 접어들고 있다”며 “투자자들은 반복적으로 ‘여기가 바닥인가’를 자문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약 8만2000달러로, 두 달 전 고점인 10만9000달러 대비 약 24% 하락한 상태다.
그는 시장 약세의 구조적 배경으로 △정부 지출 삭감 △이민 규제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 △긴축적 통화정책 등 네 가지를 꼽았다. 특히 정부 지출 삭감과 관련해 톰슨은 “트럼프 행정부가 신설한 정부효율성부(D.O.G.E)는 약 1조달러 규모의 지출 감축을 추진하며 연간 예산의 15%에 해당하는 7조달러 삭감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지출이 줄면 고용과 소비도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런 정책은 결국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진다”고 덧붙였다.
이어 관세 정책에 대해 그는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를 예고했다가 철회하는 혼선을 반복하고 있다”며 “이 같은 불확실성은 기업들의 투자와 고용 결정을 지연시키고, 이는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는 결과를 낳는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주식 등 위험자산 전반이 장기 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