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안드레아 윤 에디터] 1일(현지시간) 크립토폴리탄에 따르면 러시아 금융 당국이 재산과 상품의 토큰화를 규제할 법안을 마련 중이다. 모스크바 관계자들은 이번 조치가 시장 수요에 대응하고 민간 투자 유치를 통해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려는 의도라고 밝혔다.
러시아 재무부는 관련 법적 체계와 인프라를 수개월 내로 완성하겠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현재 투자자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상품에 자금을 투입할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 러시아, 디지털 금융 자산(DFAs) 규정 마련
러시아 연방 재무부(민핀, Minfin)가 재산과 상품의 토큰화를 규제할 방안을 개발하고 있다. 이 과정의 목표는 디지털 금융 자산(DFAs)을 기반으로 한 투자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다.
이반 체베스코프(Ivan Chebeskov) 러시아 재무부 차관은 국제 ‘거래소 상품 시장’ 포럼에서 기자들에게 “다양한 종류의 재산과 상품의 토큰화 개념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체베스코프는 “토큰화는 각종 재산과 상품을 디지털 토큰, 즉 러시아 법에서 정의하는 DFAs로 ‘포장’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체베스코프는 이를 통해 현재 투자자들에게 제한된 상품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토큰화는 미래에 이러한 투자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Bits.media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그는 토큰화가 금융 거래의 한 요소가 되어 새로운 거래와 투자 방식을 제공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체베스코프는 “이 때문에 토큰화 도구를 개발 중이며, 민간 투자자를 포함한 투자 기회를 확대하려 한다”고 말했다. 다만, 구체적인 자산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체베스코프 차관은 필요한 법적 체제를 최종화하고 인프라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을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은행과 시장 모두에서 수요를 확인했다. 몇 달 내에 이 작업을 완료할 것”이라며 의지를 드러냈다.
# 러시아의 암호화폐 규제 갈등
러시아는 암호화폐와 같은 디지털 자산과 관련하여 복잡한 입장을 유지해 왔다. 재무부는 광범위한 활용을 주장한 반면, 러시아 중앙은행(CBR)은 보수적인 입장을 고수해왔다. 러시아는 암호화폐 채굴을 합법화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이를 제한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국제 제재와 금융 제약 속에서 러시아는 암호화폐를 외환 거래에 사용하는 방안에 관심을 보여왔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서명한 법률에 따라 이러한 거래를 위한 ‘실험적 법적 체제'(ELR)가 도입됐다. 올해 3월, 체베스코프 차관은 기존 러시아 거래소를 통해 암호화폐 거래를 실험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모스크바 거래소(MOEX)가 실험의 핵심 역할을 하며, 추가 참여자들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알렉세이 야코블레프(Alexey Yakovlev) 부차관은 러시아가 ELR 내에서 디지털 화폐의 ‘조직적 거래’를 시작할 가능성을 언급했다. 하지만 CBR은 ELR 외부에서 암호화폐의 자유 유통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 설립 행정 명령 이후, 러시아 또한 암호화폐 활용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러시아 산업기업가연합회 회장 알렉산더 쇼킨(Alexander Shokhin)은 자산(금 포함)으로 뒷받침된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결제 방안에 지지를 보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