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올해 1분기 원·달러 평균 환율이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원화 가치 하락은 국내 정치 불안과 미국발 관세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3월 원·달러 평균 환율은 달러당 1452원91전으로 집계됐다. 이는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분기(1596원88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작년 말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정치 불확실성이 이어진 가운데, 미국의 관세 정책과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환율 상승에 기름을 부었다.
달러화는 최근 미국 경기 침체 가능성 속에 약세 전환 조짐을 보였지만, 원화는 여전히 약세다. 시장에서는 △정치적 불확실성 △위험 회피 심리 △수출 경기 부진 등이 원화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본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환율이 달러당 1500원을 넘어설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한다. 올해 환율이 1400원대에서 유지될 경우, 1998년 연간 평균 환율(1394원97전)을 넘어설 수도 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윤 대통령 탄핵 선고일 발표 여파로 소폭 하락했다. 전날보다 1원 내린 1471원90전에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