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비트코인이 연일 방향을 잡지 못하다가 소폭 반등했다.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주식시장이 흔들리면서 디지털자산 시장도 함께 변동성을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2일 오전 8시 56분 기준, 국내 디지털자산 거래소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은 전날 오전 9시 대비 2.75%(339만2000원) 올라 1억2660만원에 거래됐다. 같은 시각 바이낸스에서는 비트코인이 4시간 전 대비 3.24% 상승한 8만5216달러를 기록했다.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동안 비트코인은 약 6975만달러(약 1026억원)가 청산됐다. 이중 숏(매도) 포지션이 약 74%를 차지했다. 전체 디지털자산 청산 금액은 약 2억4284만달러(약 3574억원)였다.
시장의 반등 배경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발표를 둘러싼 우려 완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해방의 날(Liberation Day)’ 연설에서 전면적 20% 관세 도입 가능성이 낮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투자심리가 일부 회복됐다. NBC 뉴스는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별·품목별 차등 적용 방식을 고려 중이라고 전했다.
디지털자산 관련 주식 종목도 동반 강세를 나타냈다. 나스닥에서 코어사이언티픽(Core Scientific), 클린스파크(CleanSpark) 등 채굴주는 하루 만에 10% 가까이 급등했고, 스트래티지(Strategy)는 5.4%, 코인베이스는 2.1% 상승했다. 미국 증시도 반등하며 나스닥은 1% 가까이 올랐다.
다만 이 같은 기대감이 단기 반등의 계기가 되긴 했지만, 시장 전반의 변동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QCP 캐피털은 “트럼프의 관세 발표가 실제로 완화적으로 전개될 경우, 시장은 단기적인 안도 국면에 진입할 수 있다”면서도 “지난 분기 말 만기를 앞두고 트레이더들이 대거 비트코인을 매도했고, 이로 인해 매도세가 우세해지며 펀딩비도 마이너스로 전환된 것은 물론, 2월 핵심 인플레이션 지표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거시 불안 요인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디지털자산 시장의 투자심리를 나타내는 얼터너티브의 공포·탐욕(Fear & Greed) 지수는 이날 44점(공포)으로 전날(34점) 대비 개선됐다. 얼터너티브의 공포·탐욕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강하고, 100에 가까울수록 매수 경향이 높다는 걸 의미한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02일, 09:38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