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지난 3일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시장에서 24시간 동안 총 4억 9,224만 달러 규모의 포지션이 청산됐다. 코인글래스(Liquidation Map) 집계에 따르면, 161,558명의 트레이더가 피해를 입었고,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을 중심으로 큰 손실이 발생했다.
24시간 기준으로 롱 포지션에서 2억 6,183만 달러, 숏 포지션에서 2억 3,041만 달러가 청산됐다. 특히 12시간 기준에서는 롱 포지션이 숏 포지션보다 더 많이 청산됐는데, 이는 최근 시장 내 강했던 매수 심리가 급격히 무너졌음을 보여준다.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모든 수입품에 최소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위험자산 전반에 투자심리가 위축된 점도 하락의 배경으로 작용했다.
코인별로는 비트코인(BTC)이 1억 8,240만 달러로 전체 청산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더리움(ETH)도 9,120만 달러가 청산되며 비트코인의 뒤를 이었다. 알트코인 중에서는 솔라나(SOL)가 3,199만 달러, 리플(XRP) 2,020만 달러, 도지코인(DOGE) 1,280만 달러 순으로 청산 피해가 컸다. EOS의 경우 가격 상승에 따른 숏 포지션 청산이 두드러졌다. 가장 큰 단일 청산은 바이낸스에서 발생한 ETH/USDT 롱 포지션으로, 청산 규모는 1,197만 달러였다.
코인글래스 BTC 청산맵에 따르면, 8만3천~8만4천 달러 구간에 쌓여 있던 롱 포지션이 대거 정리되면서 숏 포지션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런 추세는 향후 반등 시 숏 포지션 강제 청산(숏 스퀴즈)으로 인한 가격 급등을 유발할 가능성을 높인다. 주요 거래소에서도 숏 포지션이 집중된 구간이 명확하여 시장 변동성이 커질 위험이 계속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롱 포지션 청산이 일단락되었지만, 높아진 레버리지 비율이 향후 변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03일, 13:33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