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4%대로 떨어지며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이 미국 경기 침체를 촉발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채권 시장이 이를 반영한 결과다.
3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채권 트레이더들은 연준이 올해 1%포인트, 즉 0.25%씩 4회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50%로 보고 있다. 이는 전날까지 전혀 예상되지 않았던 시나리오다. 이날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장중 4.01%까지 하락해 지난해 10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5년물 수익률도 15bp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미국으로 수출하는 모든 국가에 최소 10% 관세를 부과하고, 무역수지 흑자가 큰 국가에는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세계 무역 긴장이 고조됐으며,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인 국채로 몰리고 있다.
유럽중앙은행(ECB)과 영란은행(BOE)도 올해 세 차례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졌다. 독일 2년물 금리는 12bp, 10년물은 10bp 하락했으며, 영국 길트채 수익률도 전반적으로 떨어졌다.
경기 침체 우려는 월가에서도 국채 매수 확대를 촉발했다. 시티그룹은 미국 국채 투자의견을 ‘비중 확대’로 상향했으며, JP모건의 채권 부문 글로벌 총괄 밥 미셸은 “경기 침체가 다가오고 있다”고 경고했다. 반면 모건스탠리는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 가능성을 이유로 연준의 다음 금리 인하 시점을 2026년 초로 전망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시장은 당분간 미국 국채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03일, 23:04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