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최창환 기자]글로벌 M2(광의통화)가 사상 처음으로 108조4000억 달러를 넘어서며 비트코인(BTC)의 향후 움직임이 주목되고 있다고 비인크립토가 4일(현지시간) 분석했다.
이 같은 유동성 증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해방의 날(Liberation Day)’ 관세 발표와 이에 대한 중국의 즉각적인 보복 조치 속에서 이뤄졌다. 양국 간 긴장 고조로 글로벌 금융시장은 큰 변동성을 겪고 있다.
최근 2주간 극심한 시장 변동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 평균 가격은 큰 폭의 변동 없이 유지됐다. 이는 M2 증가와 비트코인 가격 상승 간의 역사적 상관관계 때문이다.
M2는 현금, 요구불예금, 저축예금 등 즉시 유동화할 수 있는 자산을 포함한 광의통화다. 일반적으로 M2가 증가하면 금융 시스템 내 유동성이 늘어나고, 이는 주식이나 부동산, 암호화폐 등 고위험 자산으로의 자금 이동을 유도한다.
과거에도 M2 급증은 비트코인 상승으로 이어졌다. 2020~2021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미국의 경기부양책으로 M2는 25% 넘게 증가했고, 이 시기 비트코인은 1만 달러 이하에서 6만9000달러까지 치솟았다.
시장 분석가들은 현재도 유사한 흐름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본다. 다만 시차가 존재하며, 비트코인은 글로벌 M2 증가에 약 두 달가량 뒤늦게 반응해왔다.
비트맥스의 창립자 아서 헤이즈는 트럼프의 관세가 기존 나스닥과의 가격 연동성을 끊고, 비트코인을 독립적인 유동성 선호 자산으로 다시 자리 잡게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BTC hodlers need to learn to love tariffs, maybe we finally broke the correlation with Nasdaq, and can move onto the purest form of a fiat liquidity smoke alarm. pic.twitter.com/BrmcNpOuGr
— Arthur Hayes (@CryptoHayes) April 4, 2025
현금이 넘쳐나는 상황에서 비트코인의 희소성과 자산 대안성은 2분기 후반 강세장을 이끌 수 있다는 전망이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