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블록미디어 김제이 기자] 올 하반기에 홍콩에서 첫 규제 스테이블코인이 출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홍콩이 스테이블코인 규제를 도입하면서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의 디지털자산(가상자산) 규제에도 변화가 예상된다는 관측이다.
6일 홍콩 완차이 홍콩컨벤션센터(HKCEC)에서 열린 ‘웹3 페스티벌’ 포럼에서 에밀리파커(Emily Paker) 글로벌 블록체인 비즈니스카운슬 중국·일본 어드바이저는 “홍콩의 선도적인 스테이블코인 규제 프레임워크가 올 여름 시행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난해 12월 홍콩 입법회에 스테이블코인 법안이 제출됐으며, 5월 승인과 여름 시행을 거쳐 3분기나 4분기에 첫 규제 스테이블코인이 출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홍콩의 스테이블코인 규제는 발행사의 완전한 준비금 보유와 법정화폐 준비자산 투자 방식에 관한 규정 등 매우 신중하게 설계됐다”며 “모든 관할권에서 스테이블코인 뱅크런을 우려하고 있으며, 홍콩 규제는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지난해 홍콩에서 라이선스를 받은 거래소는 2곳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약 10곳으로 늘었다”며 “홍콩증권선물위원회(SFC)의 에스파이어(ASPIRe) 로드맵에 대해 업계가 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콩증선위는 지난 2월19일 △접근성 △보안 △제품 △인프라 △네트워킹 등 5개 핵심 영역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자산 시장 강화 방안 ‘ASPIRe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번 이니셔티브는 글로벌 유동성·접근성 향상과 보안 중심의 규정 준수 개선, 제품 프레임워크 발전을 도모한다 아울러 기존 금융권이 블록체인 기술의 효율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홍콩과 디지털자산에 친화적인 나라로 일본을 언급하면서도 세금 문제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파커는 “일본 정부와 규제 당국은 디지털자산과 웹3에 매우 우호적”이라면서도 “최대 55%에 달하는 높은 세율이 시장 성장을 방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따라 일본은 현재 세율을 20% 수준으로 낮추는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미국의 경우 최근 디지털자산 규제 환경에 변화 조짐이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미국은 그동안 명확한 규제 없이 사후 제재 방식으로 접근해 많은 비판을 받았지만, 최근 리플과 코인베이스 등 주요 기업들에 대한 소송이 취하되는 등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소송 취하만으로 전반적인 규제 변화가 이뤄진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기존 금융권의 디지털자산 시장 진출도 중요한 트렌드로 꼽았다 파커는 ”JP모건, 골드만삭스 등 대형 은행들이 디지털자산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라며 “특히 실물자산토큰화(RWA) 영역에서 기존 금융기관들의 참여가 두드러지고 있다”고 말했다.
상장기업들의 비트코인 보유 확대 또한 중요한 흐름으로 지목했다. 그는 “마이크로스트래티지(현 스트래티지)가 이 분야를 선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연금펀드나 기관투자자 등 직접 비트코인 구매를 꺼리는 투자자들도 디지털자산 시장에 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됐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도” 한 기업이 너무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하는 것이 탈중앙화 정신에 부합하는지, 리스크 관리가 미흡한 모방 기업들이 등장할 경우 투자자들에게 위험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