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문예윤 인턴기자] 대만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32% 고율 상호관세 발표에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6일(현지시각) 라이칭더 대만 총통은 기업 경영자들과의 만남에서 미국과의 무관세 협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만 정부는 주식시장에서 ‘블랙 먼데이’ 가능성에 대비해 5000억대만달러(약 22조원) 규모의 금융안정기금 투입을 검토 중이다. 청명절 연휴로 3∼4일 휴장한 대만 증시는 재개장과 함께 미국발 고율 관세 충격으로 주가 급락이 우려된다.
라이 총통은 대만 경제가 무역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미국의 새 관세 정책이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인정했다. 다만 이번 관세가 대만의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에는 적용되지 않아 부정적 영향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대만 경제의 핵심인 반도체에 대해서도 관세 부과를 예고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우다런 대만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대만 국내총생산(GDP)의 15%가량이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라이 총통은 대미 관세 협상을 ‘무관세’로 시작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대만은 보복 관세를 도입하지 않을 방침이다. 미국 내 대만 기업들의 투자도 계속 유지된다고 강조했다.
최근 TSMC는 미국에 1000억달러(약 146조1000억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발표했다. 라이 총통은 △전자 △석유화학 △정보통신 △천연가스 분야의 기업들도 TSMC의 뒤를 이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대만 정부는 미국산 △농업 △산업 △에너지 제품의 대규모 구매를 검토 중이다. 국방부는 기존 무기 구매 계획을 그대로 유지할 예정이다.
한편,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 미국 상무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고율 관세 조치를 예정대로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행정부에 따르면 관세 발표 이후 50개국 이상이 백악관에 접촉해 협상 또는 면제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