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EU 보복 조치가 달러 체제를 흔들면, 비트코인이 대안으로 부상할 것
[블록미디어 문예윤 인턴기자] 중국과 유럽연합(EU)이 미 관세에 대응해 보복 조치를 할 경우 디지털자산의 도입을 촉진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SOME THOUGHTS FOR CLIENTS ON TARIFFS IMPACT ON BITCOIN –>
How do the latest tariff announcements impact Bitcoin and digital assets?
The Trump administration’s April 2 tariff package—targeting imports from China and the EU—has reignited global trade tensions and heightened the…— matthew sigel, recovering CFA (@matthew_sigel) April 4, 2025
매튜 시겔(Matthew Sigel) 반에크 디지털자산 연구 책임자는 7일 X(옛 트위터)를 통해 미국의 관세 조치가 비트코인(BTC)이 에너지 결제 수단으로 빠르게 자리잡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중국과 EU가 미국 관세에 보복해 달러 중심 체제를 벗어나려 할 경우 디지털자산 활용이 가속화될 것이란 분석이다.
시겔은 “디지털자산이 투기를 넘어서 에너지 거래와 통화 구조 변화에 쓰이고 있으며, 비트코인(BTC)이 다극화되는 세계 질서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도 전망했다.
그는 “중국과 러시아가 최근 비트코인(BTC) 등 디지털자산으로 에너지를 거래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볼리비아는 3월에 디지털자산을 활용한 에너지 수입 계획을 밝혔다”며 “프랑스 전력회사 EDF도 독일에 수출하던 잉여 전력을 비트코인 채굴에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또 시겔은 투자자들에게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와 중국, EU의 정책을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미국 달러 강세 여부와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의 자금 유입 흐름을 주요 지표로 제시했다.
그는 “연준이 금리 인하 기조로 전환하고 유동성이 증가할 경우 비트코인에 긍정적인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에 금리 인하를 공개적으로 요구한 바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상호 관세를 발표했다. 발표 직후 디지털자산과 주식시장은 급락했다. 금융 시장에서는 7일 뉴욕 증시 개장을 앞두고 ‘검은 월요일’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