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구자룡 기자] 인도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부과에 대해 즉각 보복할 가능성이 낮으며 관세를 낮추기 위해 협정을 협상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인도 이코노믹타임스가 6일 관리들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인도는 대립이 아닌 대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다른 경쟁국에 비해 협상 지위를 선점하는데 유리하다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5일 세계 각 국에 대한 10%의 보편관세가 발표하고 9일 각 국별 상호 관세 발효를 앞두고 각 국의 대응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세계 4위 경제 대국인 인도는 일단은 미국과의 확전보다는 협상으로 방향을 잡은 것을 보여준다.
이는 중국이 34%의 상호 관세 부과 후 이에 맏대응하는 동률의 관세 부과를 발표하고 유럽연합(EU)도 조치에 나설 예정인 등 무역전쟁에 돌입한 것과 차이가 있다.
인도의 이같은 자세는 상호 관세가 26%로 중국보다 낮은 것도 있지만 상호 관세 발표 이후 크게 떨어지지 않은 증시에서 나타나듯 대미 수출 의존도가 낮은 것도 요인으로 지목된다.
지난해 11월까지 대미 수출 비중은 18.6%, 상호 관세와 별도로 25%의 관세가 부과된 자동차 비중은 1% 미만이었다.
인도 정부의 관리는 미국과 균형 잡히고 공평한 무역 협정을 체결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며 상품과 서비스 모두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 관리는 “미국은 무역 협정에서 상당한 조치를 취하는 파트너에게 관세 부과 유예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며 회담의 세부 사항이 기밀이기 때문에 이름을 밝히기를 거부했다.
또 다른 관리는 인도는 미국과 무역 협정에 대한 협상을 시작한 최초의 국가 중 하나라는 점에서 이점을 보고 있으며 관세 인상으로 타격을 입은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와 같은 아시아 국가들보다 더 나은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상호 관세’ 부과 발표 이튿날 트럼프 주니어는 X(옛 트위터)에 “처음으로 협상에 나서면 이기고, 마지막으로 나서면 무조건 질 것”이라며 “나는 이런 영화를 내 평생 봐왔다”고 올렸다.
트럼프의 상호 관세 이후 인도, 대만, 인도네시아, 베트남, 이스라엘 등은 적극적인 협상 의지를 나타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6일 ABC 방송의 ‘디스 위크’에 출연해 “50개 이상의 국가가 대통령에게 협상 개시를 요청해 왔다는 보고를 어젯밤 무역대표부(USTR)로부터 받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