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로 인해 발생한 블랙먼데이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유동성을 중심으로 한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7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JB 드랙스 오너의 아시아태평양 수석 전략가 션 킨(Sean Keane)은 “리스크 이벤트가 다르지만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며 10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첫째, 공식적인 대응 전까지 시장은 진정되지 않는다. 둘째, 중앙은행과 규제 당국은 초기에는 상황을 지켜보며, 셋째로 이 시기에는 유동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셋째, 유동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넷째, 화면에 나타나는 가격은 신뢰할 수 없으며 특정 레벨이 무의미해진다.
다섯째, 경제지표나 경제학자의 해석은 무시해도 된다. 여섯째, 팔고 싶은 것보다는 팔 수 있는 것을 팔게 되고 유동성이 높은 자산이 먼저 매도된다. 일곱째, 모두가 달러와 미국 국채를 원하게 된다. 여덟째, 차익 거래와 자산 간 상관관계가 깨지며, 자산은 개별적인 수요·공급 상황에 따라 거래된다. 아홉째, 헤지 전략은 효과를 잃고 소문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열째, 결국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하하게 된다.
션 킨은 “시장 참여자라면 이 같은 흐름을 익히고 유동성을 중심에 둔 전략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07일, 09:51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