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고율 관세 정책에 대해 미국 월가 주요 인사들이 일제히 반대 의견을 내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7일 고율 관세 정책이 경제에 자해적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빌 애크먼(Bill Ackman)은 90일간 관세를 유예하고 다른 국가들과 협상할 것을 요구했다. 그는 “지금처럼 간다면 경제적으로 자해적 핵겨울이 올 수 있다”며 “미국이 더 이상 신뢰할 수 있는 무역 파트너나 투자처로 여겨지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투자자 스탠 드러켄밀러(Stan Druckenmiller)는 “10%를 넘는 관세는 지지할 수 없다”고 밝혔고, 오크트리(Oaktree) 공동회장 하워드 막스(Howard Marks)는 “자유무역에서 벗어나 고립주의로 가는 조짐”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의 공개 비판은 최근 미 증시가 이틀 동안 수조 달러 증발하는 폭락을 겪은 뒤 이어졌다. 아시아 시장도 타격을 입었고, 미국 선물 시장 역시 주말을 지나며 크게 하락했다. 일부 금융 인사들은 백악관 핵심 인사들과 비공식 대화를 나눴지만, 트럼프 행정부 1기 때처럼 활발한 소통 채널은 없는 상황이다.
한편, 야르데니 리서치(Yardeni Research)의 창립자 에드 야르데니(Ed Yardeni)는 “월가와 미국 실물경제는 함께 번영하고 함께 고통받는다”며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그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다만, 현 상황을 옹호하는 목소리도 일부 있다.
골드만삭스의 토니 파스콰리엘로(Tony Pasquariello)는 내부 메모에서 “이번 조치의 강도는 심지어 강경론자들도 놀랄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협상은 외교적 성과를 거둘 기회로도 여겨지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행정부가 협상 의지를 보이지 않아 시장은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07일, 17:41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