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Jack Han 에디터]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하며 글로벌 금융시장이 혼란에 빠졌다. 주식과 암호화폐 시장 모두에서 매도세가 이어졌으며, 변동성이 급증했다. 오는 9일 미국의 관세부과가 시행되면 시장은 더 큰 병동성을 겪을 전망이다.
7일 비트코인뉴스에 따르면 싱가포르 소재 QCP 캐피털(QCP Capital)은 무역전쟁의 여파가 전 세계 경제에 심각한 압박을 가하고 있다고분석했다.
비트코인은 지난주 주식시장의 하락세를 견디는 듯했으나, 아시아 증시 초반 7% 하락하며 7만4000달러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파생상품 포지션 약 8억달러가 24시간 이내에 청산됐다. QCP 캐피털은 “비트코인의 금요일 암시적 변동성이 85%를 넘었고, 이더리움은 130%까지 치솟으며 예상치 못한 방어 매매가 이루어졌다”고 전했다.
미국 증시 공포 지표로 알려진 CBOE 변동성 지수(VIX)가 60을 넘어섰으며, 이는 투자자 불안 감정이 극에 달했음을 의미한다. 중국 증시는 2008년 이후 가장 큰 단일일 손실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금요일 발표된 미국산 전 제품에 대한 34% 관세 보복 조치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QCP 캐피털은 오는 9일 추가 관세 발효를 앞두고 전면적인 ‘경제 전쟁’ 가능성을 경고했다.
# 시장 불안 지속, 글로벌 경제 압박 커져
전통적으로 안전 자산으로 여겨지는 금과 채권은 강세를 보였지만, QCP 캐피털은 이번 위기에서 비트코인이 주식 시장과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점에 주목했다. QCP는 시장 신뢰와 미국 경제의 신뢰도가 위태로운 상황이라며, 수요일 예정된 관세 부과 전 더 큰 불안정을 막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협상이 진전을 보이지 않는다면, 글로벌 시장의 변동성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분석했다.
전날인 6일에는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8만538달러로 하락했으며, 하루 거래량은 전날보다 17% 감소한 141억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QCP는 지적했다. 주요 거래소 △바이낸스 △바이빗 △OKX 등에서 활발히 거래가 이루어진 가운데, 한국의 업비트는 비트코인을 2% 프리미엄 수준인 8만2915달러에 상장하며 지역적 역학 관계를 시사했다.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인덱스는 하락세를 보이며, 미국 거래 활동이 감소하고 매수 압력이 약화되었음을 나타냈다.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은 2.45% 줄어든 2조5900억달러를 기록했으며, 비트코인의 점유율은 62%, 이더리움은 8% 수준으로 집계됐다.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일요일 2억5279만달러 규모의 청산이 발생했으며, 이 중 2억700만 달러는 롱 포지션이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