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이정화 기자]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의 본격적인 상승은 시작조차 하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7일(현지 시간) 코인텔레그래프가 주최한 롱기튜드(LONGITUDE) 행사에 참여한 분석가들은 암호화폐 시장이 FTX 사태 이후 최악의 분기를 지나며 강세장이 끝났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본격적인 상승은 3분기부터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서 패널 토론자로 나선 MN 캐피털 설립자 마이클 반 데 포프는 “강세장이 이제 막 시작된 단계”라고 말했다.
그는 비트코인(BTC)이 트럼프 관세 정책 여파로 8만 달러 아래로 하락한 것을 언급하며, “역사를 보면 혼란스러운 매도세는 오히려 반등의 기회를 만들어왔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시장 급락을 2020년 코로나19 사태 당시의 폭락과 비교하며, “당시 비트코인은 단 하루 만에 약 40% 폭락했으나 그 이후 20배 상승했다”고 말했다.
메사리(Messari) CEO 에릭 터너 역시 이에 동의하며 “우리는 진정한 강세장을 경험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시장은 두 가지로 나누어져 있었다”며 “비트코인의 경우 투자 자금이 상장지수펀드(ETF)로 흘러갔고, 밈코인 열풍 같은 단기 트렌드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터너는 강세장이 언제 시작될지를 묻는 질문에 “만약 제게 묻는다면, 올 3분기 또는 4분기부터 시작될 것”이라고 답했다.
# 미국 정책 호재와 악화된 거시경제 조건
맨트라(Mantra) 공동 설립자 겸 CEO 존 패트릭 멀린은 “단기 가격 변동을 넘어 미국 정책의 큰 그림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멀린은 “미국에서 긍정적인 정책적 흐름이 많아지고 있는 점이 고무적이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워싱턴에서 암호화폐 규제 개편을 주도하면서 △스테이블코인 법안 △시장 구조 법안의 제정에 가까워지고 있다. 트럼프는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지명자로 폴 앳킨스를 임명하는 등 친(親) 암호화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적 호재가 강세장을 아직 촉발하지 못한 데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다른 주요 현안들, 특히 무역 불균형 해소를 둘러싼 성장 둔화 우려가 작용했다.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관세는 초기의 10% 관세안을 넘어선 조치로 많은 투자자들에게 과한 조치로 여겨졌다. 이 발표 이후 미국 증시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최대 규모의 자금 이탈이 발생했다.
패널 참가자들은 연방준비제도(Fed)가 지속적으로 경제를 뒷받침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반 데 포페는 “과거의 위기에서도 연준은 금리를 인하하고 돈을 풀어 내수를 자극했다”며 “이번에도 비슷한 일이 일어날 것이다. 의문은 단지 그 시점이 언제인가일 뿐”이라고 말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