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이혜원 기자] = 애플이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영향을 피하기 위해 인도에서 아이폰 조달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7일 보도했다.
WSJ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애플이 인도에서 미국으로 조달하는 아이폰 수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소식통들은 공급망에 따른 장기 투자를 번복하기엔 상황이 너무 불확실하다고 판단했다며, 트럼프 행정부에 관세 면제를 타진하는 동안 취하는 단기적 임시방편이라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기 임기 시절인 2019년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했지만,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설득으로 애플에는 관세를 면제해 줬다.
왐시 모한 뱅크오브아메리카 분석가에 따르면 애플은 올해 인도에서 아이폰 2500만대가량을 생산할 예정이다. 그중 1000만대는 현지 시장에 공급할 계획이다.
애플이 인도에서 생산된 아이폰을 모두 미국으로 보낸다면, 올해 미국 내 아이폰 수요 50%가량을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 발효되는 각국 상호 관세율로 중국은 34%, 인도를 26% 책정했다.
중국은 앞서 부과된 관세 20%에 더해 총 54% 관세를 부과받게 된다. 중국은 보복 조치에 나섰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상호 관세를 50%로 올리겠다고 위협했다.
중국에 대한 생산 의존도가 높은 애플은 관세 직격탄을 맞았다.
테크인사이트에 따르면 중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면 판매가 1100달러(약 162만원)인 ‘아이폰 16 프로’의 하드웨어 원가는 현재 550달러(약 81만원)에서 850달러(약 125만원)로 증가할 전망이다.
애플은 지난 2일 관세 계획 발표 이후 3일 동안 주가가 19% 하락, 시가총액이 6380억 달러(938조1790억원) 증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