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미국 증시 선물이 하락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행정부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관세 부과 정책을 옹호하면서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시장은 경기 침체 가능성을 반영하며 급락세를 보였다.
S&P500 선물 지수는 뉴욕 시간 기준 7일 오전 7시 기준으로 2% 하락했다. 지난 이틀간 10% 급락한 후 다시 하락세를 보였다. 나스닥100 선물은 2.1% 하락했고, 러셀 2000 선물은 4.2% 떨어졌다. 변동성 지수(VIX)는 48로 치솟았으며 이는 코로나 팬데믹 초기 수준에 근접한다.
BNP파리바의 수석 투자 전략가 스테판 켐퍼는 “주말 동안 관세 문제에 대한 긍정적 신호를 기대했던 투자자들이 실망했다”며 “지금 팔고 나중에 생각하자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 고위 관료들은 투자자들의 우려를 일축했지만, JP모건 체이스 CEO 제이미 다이먼과 헤지펀드 억만장자 빌 애크먼, 스탠리 드러켄밀러 등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비판 의견을 제시했다.
연방준비제도(Fed)의 제롬 파월 의장은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해 경계하고 있지만, 시장은 올해 1.25%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다. 주요 증권사들은 S&P 500 목표치를 하향 조정하며 비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중국 정부의 보복 관세 발표와 미국 상장 중국 기업 주가 급락, 반도체 업종 큰 타격 등 글로벌 시장도 충격을 받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책 효과가 나타나면 시장은 반등할 것”이라며 낙관적 입장을 유지했지만, SNS를 통해 파월 의장에게 금리 인하를 압박했다. 골드만삭스는 헤지펀드들이 기록적인 속도로 공매도에 나섰다고 분석했다. JP모건 수석 이코노미스트 브루스 캐스먼은 관세 정책이 계속된다면 2025년 경기 침체가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07일, 21:24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