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지승환 인턴기자] 아서 헤이즈(Arthur Hayes) 비트멕스(BitMEX) 창립자가 중국 인민은행(PBOC)의 통화정책이 비트코인(BTC) 강세장의 촉매제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대규모 관세에 대응하는 중국의 조치가 자본 유출을 유발하고, 이 자금이 디지털자산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헤이즈는 8일(현지시각) X(옛 트위터)를 통해 “중국 인민은행이 위안화를 평가절하할 경우 중국 자본이 비트코인으로 흘러들 것”이라며 “이 시나리오는 2013년과 2015년에도 작동했으며 2025년에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If not the Fed then the PBOC will give us the yachtzee ingredients.
CNY deval = narrative that Chinese capital flight will flow into $BTC.
It worked in 2013 , 2015, and can work in 2025.
Ignore China at your own peril. pic.twitter.com/LAOeQZEjZt
— Arthur Hayes (@CryptoHayes) April 8, 2025
이어 “이번 강세장을 촉발할 주체는 미국 연준(Fed)이 아니라 중국 인민은행일 수 있다”며 “중국을 무시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강조했다.
벤 저우(Ben Zhou) 바이빗(Bybit) 공동 창립자 역시 비슷한 전망을 내놨다. 저우는 “역사적으로 위안화가 하락할 때마다 많은 중국 자본이 비트코인으로 이동했다”며 “이는 비트코인 강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중국이 2015년 8월 위안화를 달러 대비 약 2% 평가절하했을 때 이 기간 비트코인 거래량과 관심이 증가했다. 또 2019년 8월 위안화가 미 달러 대비 7:1 비율 아래로 떨어졌을 때도 비트코인 가격은 한 주 동안 20% 가까이 급등했다. 디지털자산 관리업체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은 중국 위안화의 평가 절하가 비트코인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중국 자산가들이 비트코인을 헤지 수단으로 활용했다고 보고 있다. 위안화 가치가 하락하는 상황에서 디지털자산을 보유해 자산 가치를 방어하고, 자본 통제를 피하려는 시도가 있었다는 것이다.
최근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전쟁이 불거지면서 이러한 현상이 다시 불거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미국은 7일(현지시각)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이에 중국도 “끝까지 싸우겠다”며 강경한 태도를 밝혔다. 중국 상무부는 성명을 통해 “미국이 관세 조치를 강화할 경우 중국은 자국 이익을 방어하기 위해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