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세계 주요 증시가 최근의 큰 폭락세를 뒤로하고 반등 조짐을 보인다. 2020년 이후 최대 폭 하락을 기록했던 지난 3일 동안의 움직임 이후, 투자자들은 미국과 일본 간의 무역협상 진행에 주목하며 위험 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를 되찾았다.
8일(현지 시각) 뉴욕시장에서 S&P500 선물 지수는 2.3%, 나스닥 100 선물 지수는 2.1% 각각 올랐다. 다우존스 선물 지수는 2.7%(1155포인트) 상승해 3만9320에 거래됐다. 엔비디아를 포함한 ‘매그니피센트 세븐’ 기술 대형주들이 반등을 이끌었고, 최근 3일간 19% 폭락했던 애플도 이날 프리마켓에서 약 1% 상승했다.
일본의 닛케이225 지수는 무려 6% 급등했는데, 이는 일본 정부가 미국과의 무역협상에 본격 착수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중국과 홍콩 증시도 국유펀드의 개입과 중앙은행의 유동성 공급 약속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였다.
그러나 일부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주목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유럽연합(EU)의 무역 관세 철회 제안을 거절하고, 중국에 대해 추가 50%의 수입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했기 때문이다. 브라운 브라더스 해리먼의 엘리어스 하다드 전략가는 “미국의 관세 위협과 이에 따른 보복 조치 가능성은 여전히 글로벌 경제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국 달러 인덱스도 지난 상호관세 발표 후 1.6% 급락한 이후 반등했다. 이는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지면 금리가 인하될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달러 가치 하락이 과장된 것이라고 지적하며, 앞으로의 동향을 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국채수익률도 주목 대상이다. 7일 국채수익률이 급등한 것은 증시 안정과 함께 자금이 증시로 이동할 가능성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 전망이 확대되면, 이는 국채 투매로 이어질 수 있다. 이번 10일과 11일 발표되는 소비자 물가지수(CPI)와 생산자 물가지수(PPI)가 시장의 큰 변수가 될 전망이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08일, 21:52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