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거래 중”…한·일과 협상 나서지만, 중국과의 정면 충돌은 불가피
[블록미디어 명정선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최대 104%의 고율 관세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세계가 전면적인 무역 전쟁의 문턱에 섰다. 그는 관세 시행 직전까지도 한국, 일본 등 동맹국과의 개별 협상을 추진했지만, 중국과의 충돌은 오히려 더 격화되는 양상이다.
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에너지 행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레디메이드’가 아닌, 맞춤형 거래를 추진 중”이라며 “한국과의 협상은 매우 좋은 방향으로 가고 있고, 일본은 협상을 위해 비행기에 탔다”고 밝혔다.
그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전화 통화를 언급하며 “양국 모두에 훌륭한 합의를 이룰 수 있는 구조와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여러 국가들이 단순한 무역·관세를 넘어선 양보를 하고 있다”며 “이 모든 것은 우리가 관세 카드를 꺼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자평했다.
하지만 이 같은 협상 기조에도 불구하고, 트럼프는 “최악의 무역 불공정 국가”로 지목한 60여 개국에 대한 고율 관세를 자정부터 발효하겠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 중국엔 ‘104% 관세’ 강행…“전화 기다린다”
가장 주목되는 조치는 중국을 겨냥한 104% 관세다. 트럼프는 중국이 보복 관세로 맞대응하겠다고 밝힌 이후에도 이 정책을 철회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중국은 거래를 원하지만 시작하는 방법을 모른다. 우리는 그들의 전화를 기다리고 있다. 곧 연락이 올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무역·관세 전쟁에 승자는 없다”며 “우리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문제가 닥치면 피하지 않을 것”이라고 성명을 발표했다. “협박, 위협, 공갈은 중국과의 대화 방식이 아니다”라며 미국의 태도를 정면 비판했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즉각 트럼프와 접촉할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 제기되는 가운데, 중국 정부는 자국산 미국 제품에 대한 추가 보복 조치를 예고하고 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