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명정선 기자] 일본 정부가 미국의 대(對)일본 수입품 관세 부과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국채를 매각하는 방안은 고려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9일 일본 국회에 출석한 가토 가쓰노부 재무상은 “미국 국채 보유는 장래 외환시장 개입을 대비하기 위한 목적이지, 양국 간 외교 협상 수단으로 쓰려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는 자민당 의원이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일본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결정에 대응해, 일본의 외환보유고 가운데 미국 국채를 매각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한 데 따른 발언이다.
일본은 약 1조2700억달러 규모의 외환보유고를 보유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미국 국채로 구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가토 재무상은 “외환보유액이 과도하다고 판단하지 않고 있으며, 적절한 수준에 대한 기준도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외환보유고를 매각해 엔화를 확보하는 행위는 사실상 엔화 매입 개입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발언은 일본이 외환시장 안정을 우선시하며, 미·일 간 무역갈등이 확산되더라도 외환보유고를 정치·외교 수단으로 활용하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