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미국 국채 대거 매도 현상이 글로벌 금융시장에 유동성 위기를 불러오고 있다. 미국 정부의 관세 조치로 시작된 시장 혼란이 국채 시장으로 확산되며 투자자들이 현금 확보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9일 아시아 시장에서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이 전날보다 20bp(1bp=0.01%p) 급등한 4.46%를 기록했다. 이는 이틀 전 저점 대비 59bp 상승한 수치로, 아시아 시장에서 미 국채 수익률이 급격히 변동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호주 ANZ의 잭 체임버스 금리 전략가는 이번 상황이 펀더멘털을 넘어서 유동성 문제로 번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투자은행과 헤지펀드들도 미 국채 현물과 선물 간의 금리 차이를 이용한 차익거래에서 손실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 소재 아라발리 자산운용의 무케시 데이브 최고투자책임자는 프라임 브로커들이 마진 요구를 높이기 시작하면 문제가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30년물 국채 수익률은 24bp 급등한 4.9553%를 기록했다. 3일 연속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이는 1981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장기물 매도세로 기록될 전망이다. 국채 매도 현상은 일본과 호주 등 아시아 시장에서도 광범위하게 나타났으며,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안전자산 대신 현금을 선호하는 현상이 본격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09일, 13:38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