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임철휘 기자] =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9일(현지 시간) 90일간 상호관세 유예 조치와 관련해 “‘보복하지 않고 협력하겠다, 앞으로 나아갈 길을 찾겠다’고 말하는 나라가 아주 많다”며 “대통령은 이를 기대하고 있고 이들 국가와 협상할 방법을 찾으려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리어 대표는 이날 연방 하원 세입위원회의 ‘트럼프 행정부 무역정책’ 청문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중국에 대한 125% 관세 부과에 대해서는 “중국은 독자적 길을 가고 있다. 수년 동안 보복을 선택했고, 불확실성을 선택한 것”이라며 “중국이 준비되고 더 나은 접근방식을 논의하고 싶다면 우리는 항상 문을 열어놓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중 관계에 대해 더는 언급하지 않겠지만, 다른 나라와의 관계에서는 앞으로 몇 주 또는 몇 달 안에 그들과 협상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발표는 청문회 도중 나왔다. 민주당 의원들은 이 같은 정책 결정의 즉흥성을 강하게 비판했다.
한국의 대미 수출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에 대한 질타의 목소리도 나왔다.
린다 산체스 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한국이 미국에서 수입한 물품에 부과한 실효 세율은 1% 미만이었는데도 트럼프 대통령은 25%의 관세를 부과했다”며 “우리의 친구와 동맹국을 대하는 방식을 보면 정말 충격적”이라고 지적했다.
공화당 의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자국 산업을 보호한다고 옹호한 반면, 민주당은 미국 경제와 동맹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