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최근 미국의 관세 정책이 투자자들의 인플레이션 우려를 증대시키며 비트코인 현물 ETF에서 상당한 자금 유출을 야기했다. 10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3월 28일부터 4월 8일까지 비트코인 ETF는 총 5억9500만 달러(8,647억 1,350만원)의 순유출을 기록했다.
글로벌 무역전쟁의 불확실성 속에서 비트코인 ETF의 자금 유출은 계속되었고, 4월 9일 비트코인이 8만2000달러(1억 1,917만원)까지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추가로 1억2700만 달러의 순유출이 발생했다. 이는 ETF 투자자들의 신뢰 회복이 어려운 이유에 대한 의문을 낳았다.
경제 침체 가능성 증가가 비트코인 ETF 자금 유출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라자드 자산운용의 마이클 웨이드너는 “크레딧 시장의 유동성이 말랐다”고 설명하며 △투자자들이 국채와 현금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RW 베어드의 로스 메이필드는 “관세로 인해 기업들이 높은 부채 비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BMO 캐피털 마켓의 댄 크리터는 “기업 채권 스프레드가 2023년 3월 이후 최대 주간 폭을 기록했다”고 언급했다. 기업 채권 스프레드는 기업 부채와 국채 간 금리 차이를 나타내며, 이는 기업 대출의 추가 위험을 반영한다.
무역전쟁이 비트코인 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하는 투자자들은 비트코인 ETF에 대한 신뢰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경제 회복의 신호가 미약한 가운데 △국채와 현금 보유를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는 비트코인의 고정된 통화 정책과 검열 저항적 특성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코인텔레그래프는 이 내용이 일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 법률적 혹은 투자적 조언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1일, 04:3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