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비트코인(BTC) 가격이 다시 8만 달러 밑으로 떨어졌다. 이는 뉴욕증시와 기술주의 재차 급락으로 인해 투자심리가 악화된 결과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유예 발표 직후 급등했던 뉴욕증시는 하루 만에 상당 부분 상승폭을 반납했다. 중국이 미국의 관세 조치에 결사 항전 태도를 보이며 협상 테이블에 앉기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다.
나스닥 지수가 4% 떨어지자 비트코인도 동반 하락해 7만9000 달러 선으로 밀렸다. 백악관은 새로 확인된 중국산 물품에 대한 관세율이 125%가 아니라 145%라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 취임 직후 부과된 관세 20%를 더한 결과다.
10일(현지 시간) 기준 비트코인은 전날보다 3.8% 떨어진 7만9833 달러에 거래됐다. 이더리움(ETH)은 8.6%, 엑스알피(XRP)는 4.4%, BNB(BNB)는 1.1%, 솔라나(SOL)는 5.1% 하락했다. 아발란체(AVAX)도 반에크의 ETF 신청 소식에도 불구하고 1.7% 떨어졌다.
디지털 자산 시가총액은 2.54조 달러로 4% 감소했고, 거래량은 1098억 달러로 36% 줄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62.4%를 기록했다. 비트코인과 대부분의 알트코인이 떨어지면서 코인 관련주도 함께 하락했다. 스트래티지(MSTR) 주가는 11.2%, 코인베이스(COIN)는 8.1%, 마라톤 디지털(MARA)은 9.3% 하락했다.
미·중 무역갈등 심화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논란이 계속되면서 시장 불안이 커지고 있다. 대중 관세 중 상호보복 관세는 기존 84%에서 125%로 올랐다. 여기에 펜타닐 관련 상품에 대한 20% 관세를 더하면 총 관세율은 145%다. 중국도 이에 맞서 일부 미국 상품의 수입을 줄이며 무역전쟁이 심화하고 있다.
이날 발표된 3월 물가는 예상보다 낮았지만 시장의 인플레이션 우려는 여전했다. 금값은 3% 상승해 온스당 3168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인패널(CoinPanel)의 암호화폐 트레이딩 플랫폼 시니어 전문가 키릴 크레토프는 “현재 시장 환경은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매우 불안정하다”고 전했다. 그는 “무역 정책이 핵심 변수로 작용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변동이 연준의 결정에 부담을 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1일, 06:44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