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류재준] 하드웨어 가속 블록체인 솔레이어(Solayer, $LAYER)가 2025년 1분기 핵심 기술 개발 현황과 커뮤니티 구축 성과를 종합 발표했다. △InfiniSVM 개발 가속 △퍼즈랜드(Fuzzland) 인수 △솔라나(SOL) 스테이킹 인프라 확장 △실물자산 토큰화(RWA) 온보딩 △커뮤니티 토큰 ‘LAYER’ 발행 등 기술과 거버넌스 양측에서 큰 진전을 이뤘다.
솔레이어(LAYER)는 하드웨어 기반 확장성과 사이퍼펑크 원칙을 결합한 독자 구조로, 단순 소프트웨어 스케일링 한계를 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현재 개발 중인 ‘InfiniSVM’은 솔라나 가상 머신(SVM)을 하드웨어 수준에서 수평 확장하는 구조로, 병목 없는 실행을 목표로 설계됐다. 내부 개발망(devnet)은 현재 가동 중이며, 익스플로러, 파우셋 등 인프라 구성 요소가 작동 중이다.
테스트 환경에서는 34만 건 이상의 초당 트래잭션 수(TPS)를 기록했으며, 이는 대부분의 실행 파이프라인을 하드웨어에 오프로드한 결과다. InfiniSVM은 장기적으로 100만 TPS 처리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 블록체인 업계 최고 수준의 성능 지표다.
‘퍼즈랜드(Fuzzland)’ 인수…보안 강화 전
솔레이어는 퍼즈랜드(Fuzzland) 인수를 통해 보안·검증 역량도 강화했다. 퍼즈랜드는 △형식 검증 △zkVM 구조 설계 △바이트코드 레벨(bytecode-level) 감사 △퍼징(fuzzing) 시스템 구축에 특화된 기술 중심 팀이다. 인수 이후 퍼즈랜드 팀은 솔레이어의 코어 프로토콜 개발뿐만 아니라 수직적 제품군에도 참여하며 InfiniSVM의 실행 파이프라인을 보호하고, 커뮤니티 개발자를 위한 툴도 함께 구축하고 있다.
이와 함께, 네트워크 확장을 위한 스테이킹 인프라도 빠르게 정비됐다. 솔레이어는 솔라나(SOL) 생태계 내 ‘메가 밸리데이터(Mega Validator)’를 출시하며,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 중인 검증자 노드로 자리잡았다. 사용자는 유동화 스테이킹 토큰(LST) 없이도 직접 솔라나를 예치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다.
RWA 연계와 트랜잭션 가속 인프라 확대
솔레이어는 네트워크 혼잡 시 사용자 경험을 보장하기 위해 트랜잭션 가속화 엔드포인트를 공개했다. 해당 기능은 높은 수요와 처리량을 보이는 상황에서도 우선 처리 권한을 제공해, 사용자 전송 안정성과 거래 성공률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또한, 온체인 실물자산(RWA) 연계를 위한 인프라도 구축됐다. 솔레이어는 웜홀(W)과 마얀 파이낸스(Mayan Finance)와 협력해 다양한 체인에서 USDC를 브릿지한 뒤 단일 트랜잭션으로 솔라나 상에서 sUSD로 민팅할 수 있는 기능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 미국 국채 수익 기반의 온체인 머니마켓에 직접 접근할 수 있게 됐다.
커뮤니티 토큰 ‘LAYER’ 발행
1분기의 가장 주목할만한 이정표 중 하나는 커뮤니티 토큰 ‘LAYER’의 출시다. 솔레이어는 이를 위해 솔레이어 재단(Solayer Foundation)을 출범하고, 시즌1 종료 및 제네시스 드롭(Genesis Drop)을 완료했다. 커뮤니티 세일은 약 20만명 이상이 등록하고, 총 5700만달러 규모의 구독 참여가 이뤄졌다.
토큰 배포에는 영지식(ZK) 컴프레션 기술이 적용됐다. 이를 통해 에어드롭에 필요한 온체인 트랜잭션 비용을 줄이고, 토큰을 수백만 지갑에 효율적으로 배분할 수 있었다. 현재 LAYER는 주요 중앙화 거래소(CEX) 및 탈중앙화 거래소(DEX)를 통해 유통되고 있다.
솔레이어는 “성능 수치는 목표에 도달하고 있고, 커뮤니티도 준비됐다”며 “이제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단계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 블록미디어 리서처들이 쏙쏙 뽑아 전하는 시장 이슈 ‘아무거나 리서치’ 텔레그램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