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비트코인이 미국의 관세 유예 조치와 인플레이션 둔화 신호에도 불구하고 하락세로 전환됐다. 미중 무역 갈등이 재점화되면서 투자심리가 악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11일 오전 8시 50분 기준, 국내 디지털자산 거래소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은 전날 오전 9시보다 2.69% 하락한 1억2343만원에 거래됐다. 글로벌 최대 거래소 바이낸스에서도 비트코인은 4.1% 하락해 7만9645달러를 기록했다.
이번 하락은 파생상품 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동안 비트코인에서는 약 8413만달러 규모의 청산이 발생했으며, 이 중 롱 포지션이 77%를 차지했다. 전체 디지털자산 시장에서는 약 2억9872만달러 규모의 청산이 발생했다.
비트코인의 하락은 전체 디지털자산 시장으로 확산됐다. 코인데스크20 지수는 같은 기간 5.18% 하락했으며, 바이낸스 기준 △엑스알피 △솔라나 △도지코인이 4% 이상 하락했다. 이더리움은 8% 급락해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이번 시장 불안의 주요 원인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관세 인상 발표였다.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25%에서 145%로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중국은 보복 조치로 미국산 영화 수입을 제한하겠다고 밝혔다. 무역 갈등이 격화되면서 금 가격은 온스당 3168달러로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코인패널의 키릴 크레토프 수석 연구원은 “무역정책이 시장의 핵심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며 “정치적 불확실성이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결정에도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디지털자산시장의 투자심리를 나타내는 얼터너티브의 공포·탐욕 지수는 39점(공포)으로 전날(18점)에 비해 개선됐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1일, 09:49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