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미국 달러화는 약세를 나타냈다. 이는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과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크게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금 현물 가격은 11일(현지 시간) 한때 온스당 3,220.08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시간 오후 3시 58분 기준으로는 3,196.39달러에 거래됐다. 올해 들어 금값은 21% 이상 급등했으며,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으로 한 주간 추가로 5%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미중 갈등 심화 △미국 경기침체 우려 △달러 약세 △달러 표시 자산 매도 증가 △각국 중앙은행의 금 보유량 확대 △지정학적 긴장 등을 금값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보고 있다.
캐피털닷컴의 카일 로다 애널리스트는 금 가격의 지속적 상승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단기간에 3,500달러를 돌파하기는 어렵다고 전망했다.
한편, 미국 달러화는 주요 통화 대비 약세를 보였다. 유로화 등 6개 주요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99.7을 기록, 2023년 7월 이후 처음으로 100 이하로 하락했다. 엔화와 스위스프랑은 강세를 보이며 안전자산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스위스프랑 가치는 10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내 원/달러 환율도 전날보다 6.5원 내린 1,449.9원으로 마감됐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1일, 17:34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