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블록미디어 이은서 기자에 따르면, 마켓메이커 키록(Keyrock)과 자산 토큰화 플랫폼 센트리퓨지(Centrifuge)가 공동 발표한 보고서에서 올해 미국 국채, 주식, 원자재, 사모 대출 등 실물자산의 블록체인 기반 토큰화가 금융 시스템에 큰 변화를 불러올 것이라 전망했다. 11일(현지 시각)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토큰화된 미국 국채는 스테이블코인 보유자와 기관의 채택 증가로 전년 대비 415% 증가했다.
키록과 센트리퓨지는 스테이블코인 시장 규모 2100억 달러 중 10%만 토큰화 자산에 유입되더라도 해당 부문이 210억 달러까지 성장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들은 토큰화된 국채가 글로벌 디지털 금융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을 것이라 평가했다. 반면, 토큰화된 주식의 총예치자산(TVL)은 1500만 달러로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나, 2025년 규제 명확성이 확대되면 전환점을 맞을 수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보고서는 KYC가 필요 없는 무허가(퍼미션리스) 프로토콜을 통해 고급 금융 상품의 민주화가 가능해지며, 이를 통해 접근이 어려운 지역과 인구에게 수조달러 규모의 시장이 열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토큰화된 금 등 원자재는 유동성 부족의 구조적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오스티움랩스(Ostium Labs) 같은 플랫폼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사모 대출은 실물자산 토큰화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센트리퓨지는 자사 기관 전용 유동성 풀을 통해 전통 증권화 비용을 97% 절감했다고 강조했다.
키록과 센트리퓨지는 2025년 실물자산 토큰화 시장이 최대 500억 달러까지 성장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블록체인 기반 실시간 정산과 검증 가능한 소유권 기록이 구현되면, 거래상대방 리스크와 백오피스 마찰이 줄어들 것이라 설명했다. 2025년이 블록체인 기반 실물자산 토큰화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가운데, 글로벌 금융의 재편을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2일, 17:37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