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2025년에 들어서면서 국제 무역 질서가 다시한번 요동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고율 관세’ 카드를 꺼내들며 세계 긴장이 높아졌다. 미국 채권 가격이 폭락하고 달러 지위가 흔들리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일부 국가에는 90일간 관세를 유예했지만,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이러한 국제적 긴장 속에서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큰 타격을 받는 이들은 전세계 소비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는 외국이 내고 우리는 돈을 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관세 부담이 국내 소비자에게 전가된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의 유통업체 아마존이 중국산 노트북을 수입할 때 세관에 내는 세금은 아마존이 부담하지만, 최종적으로는 소비자가 그 세금을 지불하게 된다. 실제로 트럼프의 1기 관세 정책 당시, 경제적 부담은 미국 동북부 가정의 난방비 급등을 초래했다.
미국신발유통협회(FDRA)에 따르면, 관세 15%가 적용되면 스니커즈 한 켤레의 가격이 크게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국내 소비자에게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미국산 운동화가 현지에서 오르면, 한국에 수입될 때도 가격 상승은 불가피하다. 고율 관세가 지속될 경우, 소비자들이 일상적으로 구매해온 글로벌 제품 가격도 급등할 수 있다.
웨드부시 증권(Wedbush Securities)의 애널리스트 댄 아이브스(Dan Ives)는 트럼프식 관세가 이어지면 애플 아이폰 가격이 최대 3,800달러(한화 약 500만 원)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미국 기술 산업에 심각한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이며, 한국차 역시 상황은 다르지 않다.
관세의 여파는 식탁 물가와 자동차, 건설 자재로까지 퍼지며 물가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 일부에서는 관세 부과를 통한 국산 제품 전환을 주장하지만, 국내 생산 기반이 충분하지 않거나 인건비가 높다면 이는 현실화하기 어렵다. 결국 소비자는 국산이든 수입품이든 가격 상승을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다.
관세는 종종 ‘일자리 지킴이’로 포장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철강 업계에 몇 천 개의 일자리가 생긴 반면, 다른 산업에서는 일자리가 위협받거나 사라진 사례도 있다. 2018년 미국이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를 부과한 이후 철강 생산 분야에서는 1,800개의 일자리가 증가했지만, 이러한 정책은 소비자에게 각각 81만 7천 달러와 90만 달러의 비용을 부담시켰다.
국가 간 관세 충돌은 궁극적으로 소비자에게 세금 부담을 전가시키는 게임에 불과하다. 관세 전쟁이 심화될수록 소비자의 장바구니는 더욱 무거워질 것이다. 계산대 앞에서 고개를 갸웃거리는 것은 정책을 만든 사람들이 아니라 바로 우리 소비자들이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3일, 10:3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