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정윤재] 미국 국채 기반 수익형 스테이블코인 USDO의 총 예치 자산(TVL)이 1억 달러를 돌파했다. 지난 이정표였던 5000만 달러 달성 이후 두 배 가까운 성장을 이뤘다. 오픈에덴(OpenEden)은 TVL 증가의 배경으로 디파이(DeFi) 프로토콜 내 통합 확대와 USDO에 대한 수요 증가를 꼽았다.
USDO는 최근 △스펙트라 파이낸스(Spectra Finance) △펜들(PENDLE) △모르포 랩스(Morpho Labs) △업시프트(UpShift) △오일러 파이낸스(Euler Finance) △BSX 랩스(BSX Labs) 등 다양한 디파이 플랫폼에 통합됐다. 각 플랫폼에서는 cUSDO 형태로 다양한 수익 전략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오픈에덴은 이를 통해 “성장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으며, 더 많은 통합이 예정돼 있다”고 전했다.
USDO는 기존 스테이블코인과 차별화된 규제 기반 구조와 수익성을 갖춘 점이 특징이다. 오픈에덴은 미국 국채를 기초자산으로 한 RWA(실물 연계 자산) 상품 ‘TBILL’을 통해 무디스(Moody’s)의 신용 등급을 획득한 바 있으며, 이는 기관 투자를 유도하는 계기가 됐다. TBILL은 USDC 예치를 기반으로 발행되며, 단기 국채와 현금으로 구성된 준비금으로 운용된다.
스마트 계약 기반의 다중서명 구조, 실시간 감사를 통해 △투명성 △보안성 △가격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락업(lock-up) 없이도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는 고금리 환경에서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로 작용하고 있다.
오픈에덴은 “규제를 준수하면서도 수익을 제공하는 온체인 스테이블코인이 새로운 표준이 될 수 있다”며, CeFi(중앙화 금융)와 DeFi 간 가교 역할을 계속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1억 달러 TVL 돌파는 기관과 개인 모두에게 실물 자산 기반 디지털 금융의 가능성을 입증하는 사례로 평가된다.
▶ 블록미디어 리서처들이 쏙쏙 뽑아 전하는 시장 이슈 ‘아무거나 리서치’ 텔레그램
같이 보면 좋은 기사
[홍콩 웹3] “이자 지급 스테이블 코인 USDO로 전통금융과 디파이 장점 융합”–오픈에덴(OpenEden) 창업자 제레미 응 | 블록미디어
오픈에덴(OpenEden), 무디스가 인정한 미국채 RWA 프로젝트 | 블록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