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Jack Han 에디터] 디지털자산(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비트(Bybit)가 토큰 상장 비용으로 140만달러(약 20억원)를 요구했다는 주장에 대해 부인했다.
X(옛 트위터) 사용자 ‘실버팽88(silverfang88)’은 14일(현지시각) 바이비트가 프로젝트 측에 높은 상장 비용을 요구하고, 플랫폼의 ‘캠퍼스 앰배서더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에게 시험 계약서를 제공한 뒤 불만을 억제하기 위해 주요 인플루언서를 이용했다고 주장했다. 실버팽88은 10만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는 인플루언서다.
이에 벤 저우 바이비트 최고경영자(CEO)는 “해당 사용자가 이를 입증할 증거를 보여줘야 할 것”이라며 “근거 없는 소문이 업계를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바이비트는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성명에서 상장을 위한 조건을 명확히 했다. 거래소 측에 따르면 △홍보 예산 △보증금 △평가 과정이 상장을 위한 기본 요건이다.
바이비트 관계자는 “프로젝트는 사용자 참여 활동을 위한 홍보 자금을 배정해야 하며, 법적 제약으로 인해 거래소는 직접적으로 토큰을 보유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바이비트는 목표가 충족되지 않을 경우 페널티가 부과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20만~30만달러 상당의 스테이블 코인을 보증금으로 요구한다고 밝혔다.
상장 과정에는 △서류 제출 △내부 투표 △리서치 및 상장 심의 회의가 포함된다. 관계자는 평가 기준에 대해 “온체인 데이터, 주소 인증, 사용 사례, 사용자 분포, 프로젝트 가치, 토큰 가치 평가, 가치 창출 메커니즘, 팀 자격 등을 포함한 근본적인 요소와 리스크 통제에 중점을 둔다”고 말했다.
실버팽88은 2024년 바이비트 캠퍼스 앰배서더 프로그램과 관련해 바이비트가 일부 학생들에게 시험 계약서를 제공하고, 주요 인플루언서를 통해 여론을 잠재우려 했다고 주장했다.
저우는 해당 주장에 대해서도 “바이비트가 잘못한 점이 있다면 증거를 제시해달라”고 대응했다.
한편 보도시점까지 앰배서더 프로그램 관련 의혹에 대한 바이비트의 공식적인 입장은 나오지 않았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