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명정선 기자] 스테이블코인 ‘USDT’를 발행하는 테더가 암호화폐 대출 시장에서 주요 대출기관으로 떠올랐다. 블록파이·셀시우스·제네시스 등 주요 암호화폐 대출사가 2022년 시장 붕괴와 부실 리스크 관리로 사라지면서 테더가 이들의 빈자리를 채운 결과다.
갤럭시디지털(Galaxy Digital) 보고서에 따르면 테더는 2024년 4분기 기준 갤럭시디지털과 렌드(Ledn)와 함께 중앙화 금융(CeFi) 대출 시장의 89%를 점유하고 있으며 이들 세 회사의 총 대출 규모는 약 100억 달러에 달한다.
이 가운데 테더의 시장 점유율은 70% 수준이다. 2021년 2분기 약 20%에서 3.5배 뛴 것이다. 갤럭시디지털 리서치 총괄 알렉스 손(Alex Thorn)은 “테더는 시장 침체기에 등장해 유동성을 공급해온 중요한 존재”라며 “명백한 대형 플레이어”라고 평가했다.
테더는 스테이블코인 발행 외에도 대규모 대출을 병행하면서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테더는 USDT가 충분한 자산으로 전량 담보되어 있다고 주장하지만, 그 구성에 △대출 △기타 투자 항목이 포함돼 있어 시장 불안 시 상환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돼왔다.
이에 대해 테더는 “대출은 모두 비트코인으로 과잉 담보되어 있으며, 회사의 자기자본 대비 보수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테더는 한 번도 대출 상환에 실패한 적이 없으며, 인증된 고객에 대해 상환 처리를 거부한 적도 없다”고 덧붙였다.
테더는 2024년 약 130억달러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암호화폐 업계에서 가장 수익성 높은 기업 중 하나로 평가된다. 본사는 엘살바도르에 있으며, 최근 중동에서 원유 거래를 위한 첫 자금 제공을 완료했다. 또 비트코인을 담보로 한 대규모 달러 대출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며, 이를 위해 캔터 피츠제럴드(Cantor Fitzgerald)와 협의 중이다.
한편, 중앙화 대출 시장은 전반적으로 위축되는 추세다. 2024년 4분기 기준 CeFi 대출 잔액은 112억달러로, 역대 최고치 대비 68% 줄었다. 반면, 디파이(DeFi)는 CDP(암호화폐 담보 부채 포지션)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해 전체 대출 시장에서 점유율을 넓히고 있다.
전체 암호화폐 대출 시장 규모는 2024년 4분기 기준 365억달러로, 2021년 4분기 고점이었던 644억달러 대비 43% 감소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