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차량 및 부품에 대한 관세를 일시 유예할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비트코인이 하락세를 멈추고 반등했다. 15일 오전 8시15분 기준, 국내 디지털자산 거래소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은 0.96% 상승한 1억2274만원에 거래 중이다. 글로벌 거래소 바이낸스에서는 1.27% 오른 8만4618달러를 기록했다.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ETH)은 2.03%, 엑스알피(XRP)는 1.47% 상승하고 있다.
지난 24시간 동안 약 5218만달러(약 742억원) 상당의 비트코인이 청산됐으며, 이 중 숏 포지션이 약 57%를 차지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발언이 가격 하락에 베팅한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입힌 결과로 풀이된다. 같은 기간 전체 디지털자산 청산 금액은 약 2억2630만달러(약 3218억원)에 달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 자동차에는 이미 25% 관세가 부과되고 있으며 부품에 대한 관세도 다음달 3일 시행될 예정”이라며 “미국 내 생산라인을 구축하도록 일부 유예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미·중 무역 긴장과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커지는 업계 부담을 의식한 조치로 해석된다. 업계는 차량 가격 상승, 공급 차질,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고 있으며, 유예 조치가 현실화되면 자동차 산업 전반에 단기적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대심리는 디지털자산 관련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스트래티지(Strategy)는 4.3% 오른 312달러에, 코인베이스(Coinbase)는 1.4% 상승한 17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주요 주가지수 나스닥과 S&P 500도 각각 약 1% 상승하며 위험자산 전반에 대한 투자 심리가 개선됐다.
IM투자증권은 “트럼프 대통령의 글로벌 관세 정책이 달러 신뢰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외국 정부와 중앙은행이 달러 보유 대신 미 국채 매수를 중단하거나 되팔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 같은 달러 신뢰 약화는 비트코인을 대체 자산으로 인식하게 만들고 있다”며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을 관세로 인한 피해를 회피할 수 있는 새로운 안전자산으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디지털자산시장의 투자심리를 나타내는 공포·탐욕 지수는 이날 31점(공포)으로 전날(45점) 대비 하락했다. 이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매도세가 강하고, 100에 가까울수록 매수세가 강함을 의미한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5일, 09:22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