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와 제약 분야에 대한 신규 관세 도입을 공식화하고, 자동차 부품에 대해서는 한시적 예외 적용 가능성을 시사했다. 첨단기술 제품에 대한 관세 확대와 함께 자동차 업계에는 일정 기간 유예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이 나오면서,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14일(현지시각) 연방관보를 통해 반도체와 제약품 수입에 대한 국가안보 조사를 공식 개시했다. 이번 조사는 21일간의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최대 270일 이내에 관세 부과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와 전자 공급망 전체, 그리고 제약 부문에 대한 관세를 곧 발표할 것”이라며, 일부 기업에 한해 한시적 유연성을 둘 수 있음을 시사했다.
미국은 현재 반도체의 상당 부분을 대만 등 아시아에 의존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전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반도체의 자국 생산 확대를 강조해왔으며, 최근 엔비디아가 미국 내 인공지능 슈퍼컴퓨터 구축에 50만달러(약 7억1300만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자동차 부문에서는 지난 3일부터 모든 수입차에 25% 관세가 적용되고 있으며, 오는 5월3일부터는 엔진, 변속기 등 부품에도 확대될 예정이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생산 전환에 시간이 필요하다”며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 적용을 한시적으로 유예할 수 있음을 언급했다. 이에 따라 포드, GM, 스텔란티스 등 미국 완성차 업체들이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현대차와 기아 등 외국계 업체들은 예외 적용이 제한적일 경우 불리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제약 분야 역시 관세 부과가 예고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약품에 대한 중대한 관세를 곧 발표할 것”이라며,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압박했다. 업계에서는 관세가 실제로 부과될 경우, 미국 내 의약품 가격이 17.5%가량 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특히 미국 처방약 시장의 90%를 차지하는 제네릭 의약품은 해외 생산 비중이 높아, 단기간 내 생산기지 이전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4월 5일부터 시행된 10% 기본 관세는 모든 수입품에 적용되고 있다.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기준을 충족하는 상품은 무관세이나, 비준수 상품은 25% 관세가 부과된다. 에너지와 칼륨비료는 10% 관세가 적용된다.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되면서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25%에서 145%로 인상했다. 미국 역시 중국산 수입품에 145% 관세를 적용 중이다. 미중 간 무역 긴장감이 올라가면서 글로벌 금융시장과 환율, 주식시장이 크게 요동치고 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