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안드레아 윤 에디터]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BTC) 보유량을 늘리기 위해 창의적인 방법을 추진 중이라는 발표가 나왔다고 15일(현지시간) 데일리호들이 보도했다. 이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해당 방안에는 관세 부과 가능성도 포함돼 있다.
보 하인스(Bo Hines) 미국 디지털 자산에 관한 대통령 자문 위원회(Executive Director of the Presidential Council of Advisors on Digital Assets) 사무국장은 암호화폐 인플루언서 앤서니 폼플리아노(Anthony Pompliano)의 유튜브 채널과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비트코인을 확보하는 방법 중 하나로 재무부 소유의 금 인증서를 재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하인스는 이 방안을 프로 암호화폐 입장을 가진 신시아 루미스(Senator Cynthia Lummis) 상원의원이 처음 제안했다고 밝혔다.
금 인증서는 1865년부터 1933년까지 미국 정부에서 사용된 대체 화폐로, 특정한 양의 금 보유에 대한 소유권을 증명했다. 하인스에 따르면 재무부가 소유한 금 인증서는 현재 약 온스당 43달러로 평가받고 있으나, 현재 금 가격인 온스당 약 3100달러에 맞추어 재평가할 경우 추가 자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비트코인을 매수할 수 있다.
하인스는 “루미스 상원의원의 2025 비트코인법은 매우 흥미로운 아이디어다. 이를 통해 금 인증서를 재평가하고, 추가로 확보한 자금으로 비트코인을 매입할 수 있다. 이는 비축 자산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으며 현재 국회의사당에서 해당 법안의 공동 발의자를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또한 하인스는 정부가 관세를 활용해 비트코인을 확보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 캐나다, 중국 등 국가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국제 관세를 발표한 바 있다.
“우리는 관세를 통한 방법이나 그 외 다양한 창의적인 방안을 고려 중이다. 정말로 셀 수 없는 방법들이 존재하며, 비트코인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비트코인의 시세는 작성 시점 기준 8만4904달러로 하루 동안 1% 상승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