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문예윤 인턴기자]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가 디지털자산(가상자산)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통합 데이터 플랫폼 ‘업비트 데이터 랩’을 선보인다고 16일 밝혔다.
두나무는 그동안 축적해온 데이터 분석 역량과 디지털자산 시장 경험을 바탕으로 기존 업비트 디지털자산 지수(UBCI)를 ‘업비트 데이터 랩’으로 확장해 운영할 방침이다. 이번 개편은 투자자들이 보다 정교하고 객관적인 데이터에 기반해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췄다. UBCI는 지난 2018년 최초 출시됐다.
업비트 데이터 랩은 △디지털자산 지수 △섹터 △인사이트 △블록체인 분석(Beta) 등 총 4개 카테고리로 구성된다.
디지털자산 지수 카테고리는 기존 UBCI를 기반으로 다양한 지수를 제공한다. 지수 간 흐름을 비롯해 수익률·변동성·편입 자산 등을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어 투자 전략 수립에 유용하다.
‘섹터’ 카테고리는 디지털자산을 산업·업종별로 분류해 각 섹터의 특성을 시각화했다. 주식시장에 활용되는 히트맵 기능을 도입해 시가총액과 등락률을 박스 크기와 색상으로 표현, 시장 흐름을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비교 탭에서는 섹터별 수익률과 주요 자산의 변동도 확인할 수 있다.
‘인사이트’ 카테고리는 공포·탐욕 지수와 비트코인 점유율, 업비트 프리미엄 등 시장 심리 지표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국내외 시세 차이·자산 점유율·시장 흐름 분석이 가능하다.
‘블록체인 분석’ 카테고리는 온체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지털자산의 거래·이동·사용 내역을 지표화해 제공한다. 기업의 재무제표처럼 자산을 펀더멘털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예를 들어 과대·과소평가를 판단할 수 있는 시가총액 대 실현가치(MVRV) 비율, 생태계 활성도와 참여자 행동 패턴을 보여주는 지표 등을 포함한다. 업비트는 현재 이더리움 기반 100여 종 자산 데이터를 제공 중이며 향후 비트코인 등 주요 네트워크로 확대할 계획이다.
김대현 두나무 최고데이터책임자(CDO)는 “블록체인 분석은 디지털자산의 펀더멘털에 해당하는 핵심 정보로 기업의 매출 지표처럼 반드시 참고해야 할 데이터”라며 “업비트 데이터 랩은 지표를 통합 제공해 데이터 기반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