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고율 관세의 부작용을 경고한 이후 비트코인(BTC) 가격이 장중 2% 넘게 급락했다. 그러나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와 각국 기업의 재무자산 채택이 확대되면서 비트코인 가격은 회복해 보합권까지 올라왔다.
17일 오전 8시 45분 기준으로 국내 디지털자산 거래소 업비트에서 비트코인(BTC)은 전일 대비 0.16%(19만2000원) 내린 1억2195만원에 거래 중이다. 글로벌 최대 거래소 바이낸스에서는 0.48% 상승한 8만4042달러를 기록했다. 이더리움(ETH)과 엑스알피(XRP)는 각각 0.59%와 0.14% 하락했다.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동안 비트코인 관련 청산 규모는 약 7228만달러(약 1024억원)로, 이 중 61%는 롱(매수) 포지션이었다. 같은 기간 전체 디지털자산 시장에서는 약 2억9456만달러(약 4174억원)가 청산됐다.
비트코인은 이날 새벽 장중 8만6000달러 선까지 오르며 상승 흐름을 보였다. 하지만 파월 의장이 고율 관세 정책의 부작용과 인플레이션, 고용 목표의 충돌 가능성을 경고하면서 급락했다. 이는 5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신호로 해석됐다.
퀸 톰슨 레커캐피털 최고투자책임자는 파월의 발언이 5월 금리 인하 기대를 실질적으로 없앤 것으로 평가했다. 후안 레온 비트와이즈 선임 연구원도 ‘아직 이르다’는 파월의 입장이 오히려 ‘이미 늦었다’는 평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매파적 기조로 인해 위험자산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다. 금은 지정학적 긴장과 거시 불확실성 속에서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지만, 비트코인은 여전히 위험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QCP 캐피털은 “비트코인은 아직 금과 같은 안전자산 대체재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며 “투자자들은 당분간 하방 리스크에 대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딜런 베인 메사리 연구원도 비트코인이 무역 전쟁 상황에서 위험자산처럼 반응했음을 지적하면서도, 글로벌 경제 질서가 재편될 경우 비트코인의 성격이 달라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디지털자산시장의 투자심리를 나타내는 얼터너티브의 공포·탐욕(Fear & Greed) 지수는 이날 29점(공포)으로 전날(38점) 대비 하락했다. 이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매도세가 강하고, 100에 가까울수록 매수 경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7일, 09:17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