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베이스(Base)의 밈코인 ‘Base is for everyone’ 발행 후 가격 폭락
코인베이스(Coinbase)의 레이어2 네트워크인 베이스(Base)가 밈코인을 발행하고 홍보한 뒤, 해당 토큰이 가격 폭락을 겪으며 커뮤니티의 큰 비판을 받고 있다. 내부자 거래 의혹과 규제 당국의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4월 17일(한국 시간) 베이스 공식 트위터 계정에서 밈코인 ‘Base is for everyone’을 발행하고 홍보를 시작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의 대규모 매수세가 몰리면서 시가총액이 190만 달러에서 1,500만 달러까지 급등했다. 그러나 상위 3개 지갑이 전체 공급량의 47%를 보유하고 있었고, 이들 주소에서 대량 매도가 시작되면서 가격은 99% 폭락하여 100만 달러 이하로 떨어졌다. 특히, 문제의 지갑 중 하나가 트윗 전 1.5 이더리움을 매수하고 트윗 직후 즉각적인 매도를 진행해 내부자 거래 의혹이 제기됐다.
사건 후 베이스는 두 번째 토큰을 발행했지만, 이 역시 가격이 급락했다. 커뮤니티에서는 베이스에 대한 비판이 이어졌고, 베이스 개발을 이끄는 제시 폴락(Jesse Pollak)은 “내가 찍었고 앞으로도 찍을 것”이라며 논란을 키웠다. 베이스가 코인베이스라는 규제 기업의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커뮤니티의 분노는 더욱 확산됐다.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등 규제 당국의 주시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인증 효과로 인해 일반 투자자들이 위험에 노출되었다”며 “대형 지갑의 일방적인 매도는 명백한 책임 회피”라고 지적했다. 또한 “베이스와 코인베이스는 이번 사태에 대한 해명과 향후 기준 마련, 보상 방안을 통해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사건은 밈코인 시장과 공식 채널의 책임 문제를 다시 조명하게 만들었다. 향후 베이스 및 코인베이스의 대응이 업계 신뢰 회복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4월 17일 9시 30분 기준, ‘Base is for everyone’의 시가총액은 500만 달러 수준에서 횡보하고 있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7일, 21:53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