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Jack Han 에디터] 18일(현지시각)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바이낸스 창업자 창펑자오(CZ)가 분산된 바이낸스코인(BNB) 스테이킹 생태계의 간소화를 위한 통합 방안을 제안했다. 그는 각기 다른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을 단일 구조로 통합하자는 의견을 내놓으며 사용자 접근성과 자본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창펑 자오는 자신의 X(옛 트위터)를 통해 “BNB 보상 버전이 너무 많아, 이를 통합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는 다양한 플랫폼 또는 디지털자산(가상자산) 스테이킹 전략에 따라 발행되는 토큰들이 각각 다른 조건, 보상 구조, 제한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BNB 스테이킹 생태계의 복잡성과 통합 필요성
현재 BNB 스테이킹 생태계에서는 asBNB, slisBNB, clisBNB와 같은 파생 토큰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사용자가 유동성을 유지하면서도 스테이킹된 BNB 자산을 대표한다. 그러나 다양한 조건을 가진 이러한 변형 토큰의 등장으로 인해 신규 사용자들에게는 생태계 활용이 까다로워졌고, 이는 BNB의 유동성 스테이킹 생태계의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아스터 탈중앙화 거래소는 asBNB 보유자들에게 “연속 보상”을 발표하며 스테이킹 생태계에 추가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했으나, 이는 동시에 토큰 관리의 복잡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됐다. Aster는 “기존 보유자들을 위한 보상이 곧 활성화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이는 다양한 보상 정책과 토큰 설계의 복잡성을 잘 보여준다.
CZ는 사용자들에게 생태계 내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는 BNB의 디파이 성장과 생태계 확장을 위한 그의 확고한 의지를 반영하며, 보다 통합된 전략을 통해 BNB 활용성을 높이겠다는 목표로 해석된다.
통합된 BNB 스테이킹 표준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BNB는 현재 디파이 생태계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자산 중 하나로 다양한 유동성 풀, 스테이킹 프로토콜, 수익 생성 전략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CZ의 통합 제안은 디파이 생태계 전반에 걸친 구성 가능성과 표준화를 향한 트렌드와도 일치한다.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단절된 토큰 설계는 참여를 저해하고 상호 운용성을 제한한다는 점을 업계 리더들도 점차 인식하고 있다.
표준화된 BNB 스테이킹 토큰은 △분열 완화 △유동성 증가 △플랫폼 간 통합 촉진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는 동시에 일상 사용자들의 스테이킹 접근성을 높이고, 바이낸스의 온체인 생태계의 폭넓은 채택을 이끌어낼 수 있다.
현재 바이낸스는 스테이킹 토큰 통합에 대한 공식 로드맵을 발표하지 않았으나, CZ의 의견은 통합된 유동성 스테이킹 표준 구축의 초기 단계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같은 움직임은 BNB의 디파이 핵심 자산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간소화하며, 생태계의 확장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