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이정화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주 관세 유예를 전격 결정한 배경에는 ‘채권시장의 불안정’이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수천억 원 상당의 채권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8일(현지 시간) 뉴욕타임스는 “관세 유예 결정이 트럼프 본인의 채권 보유와 관련이 있는지는 알 수 없다”면서도 이해상충 가능성을 제기했다.
뉴욕타임스가 입수한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의 재정 공개서에 따르면, 그는 약 1억2500만 달러(한화 약 1,775억 원)에서 4억4300만 달러(약 6,290억 원)에 이르는 채권에 투자하고 있었다. 이는 그의 주식 투자 금액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관세 발표로 주식 시장은 단기간에 수조 달러 규모의 손실을 기록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별다른 동요 없이 지켜봤다. 하지만 관세가 채권 시장에도 충격을 주기 시작하자 분위기는 달라졌다. 지난 4월 9일, 트럼프 대통령은 예고했던 관세 중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 대해 90일간 유예했다.
개인 이해와 정책 결정 간 경계 흐려져
이번 결정이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 재정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하지만 본인의 투자 자산이 정부 정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조 자체가 도마 위에 올랐다.
트럼프는 대통령이 된 이후에도 자산을 블라인드 트러스트에 맡기지 않아, 정책 결정과 개인 자산 사이의 경계가 흐려졌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와도 잦은 갈등을 빚어왔다. 특히 제롬 파월 의장이 고금리 기조를 유지하자, 금리 인하를 촉구하며 공개적으로 비난했다.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 가격은 오르기 때문에, 이는 그의 채권 자산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통령 주변, 내부자 거래 여부 조사 중
관세 유예 발표 직후 채권 시장은 안정을 되찾았고, 주식 시장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대 일일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런 급반전에 따라 미국 뉴욕주 검찰은 트럼프 대통령 주변 인사들이 내부 정보를 이용한 주식 거래를 했는지에 대한 예비 조사를 시작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럼프 미디어와 같은 주식 자산도 다수 보유 중이다. 해당 주식은 올해 초부터 40% 가까이 하락했지만, 그는 주식 매각 계획이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채권 투자, 안정성 추구 목적?…지자체 채권 비중 높아
트럼프 대통령이 보유한 채권 중 대부분은 지방정부가 발행한 채권으로, 세금이 면제되는 특성을 가진다. 이는 은퇴를 앞둔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자산 유형이다. 트럼프는 뉴욕과 시카고 등 정치적으로 충돌이 잦았던 도시의 채권도 보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관세 정책을 넘어서, 대통령의 개인 투자와 공공 정책이 뒤엉킬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뉴욕타임스는 보도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