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비트코인이 소폭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기관의 매수와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자금 유입이 투자 심리를 지지하지만, 미국 경제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투자자들의 경계심도 높아지고 있다.
21일 오전 8시30분 기준, 국내 디지털자산 거래소 업비트에서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0.15% 상승한 1억2284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글로벌 거래소 바이낸스에서는 0.05% 오른 8만5240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이더리움과 엑스알피는 각각 1.85%, 0.51% 하락했다.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지난 24시간 동안 비트코인에서 약 2889만달러 규모의 청산이 발생했고, 이 중 숏 포지션이 53%를 차지했다. 전체 디지털자산 시장의 청산 규모는 1억6441만달러였다.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로는 지난 19일 기준 1억783만달러가 유입되었으며, 블랙록의 IBIT가 8096만달러를 끌어들였다. 이는 하루 전 1억7000만달러가 빠져나간 것을 고려하면 반등 조짐으로 해석된다.
IBIT는 올해 들어 총 24억달러를 끌어모았다. ETF를 통한 꾸준한 매수와 마이클 세일러 스트래티지 회장의 지속적인 저가 매수도 심리를 지지하는 요인이다. 지난 1분기 동안 상장 기업들도 비트코인 보유량을 16.1% 늘렸고, 9만5431BTC를 추가 매수했다. 이는 비트코인 총 공급량의 3.28%에 해당한다.
한편, 전통적인 안전자산인 금으로도 자금이 이동하고 있다. 같은 기간 금 ETF에는 일주일 새 80억달러가 유입되었고, 올해 누적 유입액은 800억달러에 달했다. 이는 경기 불안과 금융 시스템에 대한 불신을 반영한 결과다.
경제학자인 피터 시프는 미국이 역사상 최악의 경기침체로 향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상황을 악화시키고, 연방준비위원회(Fed)가 양적완화를 시행할 경우 달러 가치가 급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추가로 높은 금리와 경기침체의 충격으로 미국 은행 시스템이 버티기 어려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디지털 자산시장의 투자심리를 나타내는 공포·탐욕 지수는 이날 37점(공포)으로 전날 대비 하락했다. 이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매도세가 강하고, 100에 가까울수록 매수 경향이 높다는 걸 의미한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21일, 09:34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