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이더리움(ETH)이 모듈러 블록체인 구조로 진화하며, 서로 다른 롤업(Rollup) 간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했다. 이를 위해 확정 구조 설계가 전체 생태계의 신뢰성과 확장성에 결정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지난달 17일 타이코(Taiko)가 개최한 ‘베이스드 롤업 서밋(Based Rollup Summit)’에서 에스프레소(Espresso)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키야오 셴(Keyao Shen)은 “상호운용성은 이더리움 통합을 위한 마지막 퍼즐”이라며 여러 형태의 확정 구조와 그 한계, 이를 극복하기 위한 레이어 1.5 아이디어를 공개했다.
셴은 확정 구조가 상호운용성을 지탱하는 기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롤업 간 자산 이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중지불과 자산 증발 문제를 지적하며, 레이어 1 기반 확정, 시퀀서 기반 확정, 그리고 공통 시퀀서를 공유하는 베이스 확정 등 세 가지 주요 확정 방식을 설명했다. 레이어 1은 보안성이 높지만 속도가 느리고, 시퀀서 기반 확정은 빠르지만 여러 체인을 거칠 경우 신뢰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셴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레이어 1.5’라는 중간 계층을 제안했다. 이는 레이어 1 수준의 보안성을 확보하면서도 새로운 합의 프로토콜을 통해 빠른 확정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에스프레소는 레이어2를 위한 공유 시퀀서를 운용하는 프로젝트로, 현재 사전확정 기능을 개발하며 ZK(Zero Knowledge) 기술을 도입해 데이터 무결성과 보안을 강화하고 있다.
셴은 발표를 마무리하며 “상호운용 프로토콜은 확정 구조의 강도만큼만 안전하다”며, “확정을 구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이더리움 생태계는 진정한 통합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이 기사는 2025년 04월 22일, 07:2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